국가
이라크
IRAQ
Iraq
iraq
Y
https://upload.wikimedia.org/wikipedia/commons/f/f6/Flag_of_Iraq.svg
368
"IRAQ"@en
IRQ
IQ
아시아
바그다드
모술
바스라
키르쿠크
압둘라흐만 아리프
Al-Bayrakdar
Hamoodi Al-Daraji
하단 알 티크리티
압둘카림 카심
사담 후세인
Al-Hadithi
이자트 이브라힘 알-두리
R. Salman
타하 야신 라마단
타리크 아지즈
우다이 후세인
모하메드 바흐르 알울룸
모하메드 시아 알 수다니
미군 함정 STARK호 피격 사건
아랍·이스라엘 분쟁
http://opendata.mofa.go.kr/core/resource/Event/EV00067
이란-이라크 전쟁
제3차 중동전쟁
걸프 전쟁
샌프란시스코 강화 조약
샌프란시스코 회의 (1945)
생물무기금지협약(BWC)
솔레이마니 사령관 제거
아랍 저항전쟁
아랍의 봄
이슬람국가(IS) 아부 바크르 알바그다디 사망
우주 조약
유럽 난민 위기
유엔 헌장
이라크 파병
제54차 뮌헨안보회의(MSC: Munich Security Conference)
핵안전조치협정
후세인 이라크 전 대통령 사형 집행
ACC아랍협력위원회 창설 회원국 정상회담
ACC 수상회담
긴급 아랍 정상회담
이라크 민주화 계획 발표
이라크의 이란계 영국 기자 처형
제1∼2차 ACC아랍협력위원회 정상회담
제1차 ACC 정상회담
제2차 ACC 정상회담
제2차 오일 쇼크
제45차 유엔총회
쿠웨이트 침공
한·이라크 문화협정
http://dbpedia.org/resource/Iraq
437,072 km²
이라크 공화국은 서남아시아에 있는 국가이다. 1932년 이후 사우디아라비아와 공동으로 관리하고 있는 중립지대의 면적이 924km² 이고, 내해까지 포함하면 약 437,072km² 이다. 수도는 바그다드이며, 공용어는 아랍어, 쿠르드어다. 통화는 이라크 디나르(IQD)이다.
+964
이라크 디나르
아랍어, 쿠르드어
http://img.geonames.org/img/country/250/IQ.png
UTC+3
94
[368549] 대변인 정례브리핑 (6.15)
[55439] 제3차 한-이라크 정책협의회(서울)
[55493] 윤석열 대통령 미국 방문(New York)
[346144] 국민과 함께 하는 외교 이슈 강연회 개최
[371990] 이라크 등 여행금지 국가·지역 지정 6개월 연장
[372107] 정의용 장관, 오드레 아줄레 유네스코 사무총장 면담
[372176] KAL858기 유가족 간담회 개최
[372480] 제3차 한-유네스코 신탁기금 고위급 회의 개최
[372545] 이라크·우크라이나 등 여행금지 지정 6개월 연장
[372692] 박진 외교부장관, 아중동지역 공관장회의 개최
[373031] 제18차 한-중동 협력포럼 개최(11.18) 결과
[373202] 이라크·우크라이나 등 여행금지 지정 6개월 연장
[373798] 이자형 외교부 국제법률국장, 국제해양법재판소(ITLOS) 재판관 당선
[373890] 현행 여행금지 지정 6개월 연장 및 팔레스타인 가자지구 신규 지정
[374043] 제3차 한-이라크 정책협의회 개최
[374044] 외교부 1차관, 한-이라크 외교관여권 사증면제협정 서명(8.31.)
[374075] 김효은 기후변화대사, ⌜모래먼지폭풍 대응 국제회의⌟ 참석
Rethinking Collective Security of the United Nations in the Post-Cold War World
Nuclear Conundrum: Analysis and Assessment of Two Koreas' Policy Regarding the N
The Bush Administration and Prospects of U.S.-Russia Relations
Prospects for International Relations in 2005
US Preemptive Deterrence Plan and Prospects of Iraq Attack
Evaluation of Kim Jong-il's Visit to the Russian Far East and Prospects for Russ
Prospects for International Relations in 2006
유럽 안보환경의 변화와 안보체제의 발전 방향
미·러간 전략무기 감축 협상의 현황과 전망
포괄적 핵실험금지조약(CTBT) 협상 동향과 전망
바세나르체제 출범의 의의와 전망
미·러 정상회담의 평가 및 전망
미국의 선제억지방안과 對이라크 공격가능성
최근 미국의 금융불안과 향후 경기전망
미국의 反테러전쟁과 WMD 확산방지 정책
북한의 미.북한 불가침협정 제의 문제
이라크 전쟁의 현황과 전망
최근 北核 사태에 대한 러시아의 대응
미.일 군사동맹과 한반도 안보(현지정책03-1)
원전 폐기물 관리시설 사업을 통해 바라 본 미군기지 이전·재배치 문제
주한미군 재배치와 한미동맹의 발전방향
신 군사안보 패러다임과 해외주둔 미군 재배치 전략
2005 국제정세전망 영문판 발간 Prospects for International Relations
유엔기능 강화와 안보리 개혁:'고위패널 보고서' 내용을 중심으로
트랜스 코카서스.중앙아시아의 '신 거대게임'과 러시아의 대응
러시아의 WMD 비확산 정책과 북한
이라크 민주정부 수립 및 안정화 전망
최근 국제유가 동향과 전망
미.유럽 대서양 동반자 관계: 현황과 전망
이라크전 이후 세계 반미주의의 동향과 전망: 유럽, 중동, 아시아
일본 자위대 이라크 파병 동향과 그 시사점
미국의 이라크 개입외교: 도전요인과 전망
『2006 국제정세전망』 발간
미국의 이라크 안정화 정책: 평가와 전망
2006 봄 주요국제문제분석 발간
「2007 국제정세전망」발간
동아시아 정세 변화와 한국 외교 과제(3)-2007 정책연구과제통합본
동아시아 정세 변화와 한국 외교 과제(2)-2007 정책연구과제통합본
동아시아 정세 변화와 한국 외교 과제(1)-2007 정책연구과제 통합본
이라크 석유법의 주요 쟁점과 국제적 함의
2008 여름 주요국제문제분석
미국의 대 이라크 정책 추이와 전망: 최근 치안 상황 변화와 미군 철수 논의를 중심으로
2008 주요국제문제분석(가을호)
2010 국제정세전망 발간
현지정책연구과제 2010-2
정책연구과제 2 (2010년)
The 2014 Quadrennial Defense Review Report: Analyses and Implications
이라크 ‘이슬람 국가(IS, Islamic State)’ 등장의 함의와 전망
주요국제문제분석 (2014 가을호)
Emergence of the Islamic State: Implications and Future Prospects
America’s New Offset Strategy and U.S.-China Relations
트럼프 행정부 대외정책: 현황과 전망
ISIS 3년, 현황과 전망: 테러 확산의 불안한 전조(前兆)
트럼프 행정부와 미국·유럽 안보 동맹: “공평한 분담”의 실현 전망
INF 조약의 폐기 예정과 함의
2020년 이란 총선의 결과 및 함의
2020 Iranian Legislative Election : Outcome and Implications
The Status of the Spread of COVID-19 in the Middle East and Implications
이스라엘·UAE 평화협정(아브라함 협정)의 함의
바이든 정부 이란 핵합의 복귀 전망
The Biden Administration’s Return to Iran Nuclear Deal: Outlook
[IFANS PERSPECTIVES]The Naturalization of Violent Extremists
미국의 자유주의 패권질서의 지속가능성:국내정치 필요조건과 포스트-코로나 국제질서에 함의
UAE 석유 시설 드론 피습 사건 관련 함의
2022 비엔나 이란 핵협상 관련 동향과 전망
우크라이나 침공에 대한 국제사회의 국제법적 대응
한미정상회담 분석
외교행위에 대한 사법심사에 관하여
2023년 중동 정세 전망
사우디아라비아·이란 관계 정상화의 함의
2024 가자 사태: 이스라엘의 딜레마와 국제정치적 함의
2024 중동 분쟁의 배경과 전망
본 페이지는 온톨로지 데이터를 Linked Data로 발행한 것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