폭력적 극단주의 세력의 토착화 추이:레반트해방기구(Hay’at Tahrir al-Sham, HTS)의 이들리브 정치세력화 과정을 중심으로 ( http://opendata.mofa.go.kr/mofapub/resource/Publication/13689 ) at Linked Data

Property Value
rdf:type
rdfs:label
  • 폭력적 극단주의 세력의 토착화 추이:레반트해방기구(Hay’at Tahrir al-Sham, HTS)의 이들리브 정치세력화 과정을 중심으로
skos:prefLabel
  • 폭력적 극단주의 세력의 토착화 추이:레반트해방기구(Hay’at Tahrir al-Sham, HTS)의 이들리브 정치세력화 과정을 중심으로
skos:altLabel
  • 폭력적 극단주의 세력의 토착화 추이:레반트해방기구(Hay’at Tahrir al-Sham, HTS)의 이들리브 정치세력화 과정을 중심으로
mofadocu:relatedCountry
bibo:abstract
  • Ⅰ. 서론
    Ⅱ. 등장 배경: 시리아 내전
    Ⅲ. HTS 출현의 추이
    Ⅳ. HTS 조직 구성
    Ⅴ. 이념, 목표, 전략
    Ⅵ. 내외 역학
    Ⅶ. 결론: 전망 및 함의
    
    
    <요약>
    
    폭력적 극단주의에 기반한 글로벌 테러 세력은 초기 알카에다(al-Qaeda)를 넘어 ‘이슬람국가(IS)’를 거치면서 폭력성의 절정을 보여주었다. 2019년 다국적군의 공동 작전으로 현격하게 약화된 IS는 현재 중동 지역 및 유럽, 아프리카 등 인접 지역에서 소규모 프랜차이즈로 산개(散開) 중이다. 대부분의 프랜차이즈 IS가 여전히 기존의 폭력적 극단주의 이념과 수단을 유지하는 데 반해, 성격이 변화하는 것으로 관찰되는 테러 세력이 있다. 바로 레반트해방기구(HTS)이다. 알카에다에 뿌리를 둔 HTS는 IS와의 화학적 결합을 거쳐 다시 분리되어 현재는 시리아 이들리브(Idlib) 지역을 중심으로 토착화 과정을 거치고 있다. 중도적 이슬람 이념을 가미하고, 통치 구조에 있어서 상대적으로 온건한 기능을 가진 조직을 도입하고 있다. 
    
    이슬람 학자 다수는 이를 토착화 과정으로 설명한다. 즉 살아남기 위해 더 이상 극단적 투쟁에 연연하는 것은 의미가 없음을 자각하고 대중들의 지지와 관심을 획득하기 위해 온건화, 토착화 과정을 선택했다는 견해다. 반면 미국과 유럽 등 서방권 국제사회는 HTS의 이러한 형질 변화에 의구심을 갖고 있다. 현재로서는 HTS의 사례가 어느 방향으로 전개될지 속단하기는 이르다. 그러나 본의든 위장이든 폭력적 극단주의 집단이 토착화, 제도화의 과정을 택하는 경로를 살피는 것은 테러 정책상 유의미하다. 본 보고서는 HTS 토착화 과정의 배경, 추이 및 함의를 살펴 정리하고 있다. 이를 통해 향후 대테러 정책의 구체적 대응 방안을 모색하는 기초자료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집필되었다.
    
    
    * 붙임 참조
mofadocu:category
  • Foreign Affaris and National Security Research
  • 정책연구시리즈
mofadocu:relatedArea
mofa:yearOfData
  • "2020"^^xsd:integer
http://opendata.mofa.go.kr/mofapub/dataURL
  • "https://www.ifans.go.kr/knda/ifans/kor/pblct/PblctView.do?csrfPreventionSalt=null&pblctDtaSn=13689&menuCl=P03&clCode=P03&koreanEngSe=KOR"^^xsd:anyURI
http://opendata.mofa.go.kr/mofapub/hasAuthor
  • 인남식 아중동연구부장대리
http://opendata.mofa.go.kr/mofapub/hasProfessor
http://opendata.mofa.go.kr/mofapub/pubDate
  • "20201229"^^xsd:integer
http://opendata.mofa.go.kr/mofapub/pubNumber
  • 2020-01
dcterms:language
  • KOR

본 페이지는 온톨로지 데이터를 Linked Data로 발행한 것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