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0년 홍콩 국가보안법 통과의 의미와 시사점 ( http://opendata.mofa.go.kr/mofapub/resource/Publication/13617 ) at Linked Data

Property Value
rdf:type
rdfs:label
  • 2020년 홍콩 국가보안법 통과의 의미와 시사점
skos:prefLabel
  • 2020년 홍콩 국가보안법 통과의 의미와 시사점
skos:altLabel
  • 2020년 홍콩 국가보안법 통과의 의미와 시사점
mofadocu:relatedCountry
bibo:abstract
  • 1. 문제 제기
    2. 홍콩 국가보안법 제정의 법적 근거와 기본 내용
    3. 저항의 배경: 홍콩의 정체성과 일국양제·항인치항·고도자치
    4. 2020년 홍콩 국가보안법 제정의 평가 및 전망
    5. 한국에 대한 함의
    
    
    
    1. 문제 제기
    
    중화인민공화국(이하 중국 혹은 중국 본토) 양회(兩會) 기간 중인 2020년 5월 28일, 중국 전국인민대표대회(이하 전국인대)가 홍콩 <국가보안법(이하 국안법·國安法)> 제정을 결정했으며, 법안은 6월 30일 전국인대 제20차 상무위원회를 만장일치(162명)로 통과 후 발효됨.
    
    중국이 홍콩 입법회(立法會·LegCo:입법기관)를 거치지 않고 전국인대를 통해 직접 홍콩 법률 제정에 나선 것은 1997년 홍콩 반환 이후 최초임.
    
    2003년 홍콩 정부가 <중화인민공화국홍콩특별행정구기본법(이하 기본법)> 제23조를 근거로 <국안법> 제정을 추진했으나, 홍콩 시민들의 대규모 반발에 부딪혀 무산된 바 있음.
    
    동 법안은 홍콩 반환 기념일인 7월 1일부터 시행된다는 상징성을 지님.
    
    ‘국가 안보 수호를 위한 反 정부 활동의 전면적 금지’를 골자로 하는 홍콩 <국안법>의 가결에 대해, 홍콩 시민사회와 국제사회는 자유·민주·인권 등 국제적 보편가치에 대한 제약과 훼손을 우려함.
     
    홍콩의 민주진영 정치 인사들과 시민들은 이를 ‘민주주의의 죽음’, ‘일국일제(一國一制)’등으로 비판하며 대규모 집회와 시위를 예고함.
    
    국제사회는 ▲G7 외무장관 성명, ▲EU-중국 정상회의 발언, ▲UN 인권이사회 공동성명 등을 통해 홍콩 <국안법>의 철회를 촉구함.
    
    영국은 중국의 직접적인 홍콩 <국안법> 제정을 ‘일국양제(一國兩制)’원칙의 위반 이자 홍콩 시민들에 대한 억압으로 규정하고, 1997년 7월 1일 홍콩 반환 이전 출생 자인 재외영국시민여권(BNO: British National Overseas) 소지자와 그 자녀에 대해 영국 체류 기간 연장 및 영국 시민권 신청 권한을 부여함.
    
    미국은 6월 29일 홍콩 <국안법> 통과 직전, 홍콩의 특별 무역 지위를 박탈하고, 민·군 이중 용도 기술에 대해서도 수출 중단 조치를 발표함.
    
    중국은 홍콩 문제는 국내문제로, 내정간섭은 수용할 수 없다는 원론적 대응을 함.
    
    본 보고서는 홍콩 <국안법> 통과의 배경과 내용을 정리하고, 홍콩과 국제사회, 그리고 중국의 입장을 통해 중국 본토의 전국인대가 결정한 홍콩 <국안법> 제정을 평가 및 전망 하며, 한국에 대한 함의를 모색함.
    
    특히 홍콩 문제가 가지고 있는 역사적 함의와 1842년 이후 ‘국민’이 아닌 ‘시민’ 으로 살아온 홍콩과 홍콩인의 독특한 정체성을 통해 본 사안을 보다 심도 있게 이해 하고자 함.
    
    * 더 보기 붙임 참조
mofadocu:category
  • IFANS Forecast
  • 주요국제문제분석
mofa:relatedOrg
mofa:relatedEvent
foaf:isPrimaryTopicOf
mofa:yearOfData
  • "2020"^^xsd:integer
http://opendata.mofa.go.kr/mofapub/dataURL
  • "https://www.ifans.go.kr/knda/ifans/kor/pblct/PblctView.do?csrfPreventionSalt=null&pblctDtaSn=13617&menuCl=P01&clCode=P01&koreanEngSe=KOR"^^xsd:anyURI
http://opendata.mofa.go.kr/mofapub/hasAuthor
  • 표나리 아시아태평양연구부 교수
http://opendata.mofa.go.kr/mofapub/hasProfessor
http://opendata.mofa.go.kr/mofapub/pubDate
  • "20200819"^^xsd:integer
http://opendata.mofa.go.kr/mofapub/pubNumber
  • 2020-25
dcterms:language
  • KOR

본 페이지는 온톨로지 데이터를 Linked Data로 발행한 것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