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헬 지역 이슬람 극단주의 무장활동 현황 분석 및 전망:말리, 부르키나파소, 니제르를 중심으로 ( http://opendata.mofa.go.kr/mofapub/resource/Publication/13612 ) at Linked Data

Property Value
rdf:type
rdfs:label
  • 사헬 지역 이슬람 극단주의 무장활동 현황 분석 및 전망:말리, 부르키나파소, 니제르를 중심으로
skos:prefLabel
  • 사헬 지역 이슬람 극단주의 무장활동 현황 분석 및 전망:말리, 부르키나파소, 니제르를 중심으로
skos:altLabel
  • 사헬 지역 이슬람 극단주의 무장활동 현황 분석 및 전망:말리, 부르키나파소, 니제르를 중심으로
mofadocu:relatedCountry
bibo:abstract
  • 1. 문제제기
    2. 사헬 지역 이슬람 극단주의 무장활동 현황
    3. 이슬람 극단주의 무장활동 확산 배경
    4. 이슬람 극단주의 무장활동 전망
    5. 정책적 고려사항
    
    
    
    1. 문제제기
    
    최근 아프리카 사헬(Sahel) 지역에 위치한 말리, 니제르, 부르키나파소에서 이슬람 극단주의 무장활동이 확산됨에 따라 저발전과 정세 불안이 심화되고 국민들의 삶이 피폐해짐. UN 기구 및 국제구호단체들은 해당 국가들에서 심각한 인도주의적 위기가 진행되고 있다고 경고함.
    
    말리, 니제르, 부르키나파소는 2010년대 이전까지 심각한 폭력 사태를 경험한 적이 없음. 군부 쿠데타로 인한 정권교체나 저강도 분리주의 무력충돌을 겪었지만, 테러 공격이 일상화된 경우는 없었음.
    
    2012년부터 말리 정부는 이슬람 극단주의 무장단체들과 전쟁을 치르고 있으며, 말리 내전은 인접국인 니제르와 부르키나파소로 전파되고 있음.
    
    2019년 이 세 국가에서 4천 명 이상이 이슬람 극단주의 무장공격으로 사망함. 70만 명 이상이 국내실향민(IDP: Internally Displaced Person)으로 전락하였고, 240만 명 이상이 심각한 식량 부족에 시달리고 있음.
    
    말리, 니제르, 부르키나파소에서의 이슬람 극단주의 무장활동 확산은 서아프리카 지역 안보뿐만 아니라 국제 안보에도 부정적인 영향을 끼칠 수 있음.
    
    이슬람 극단주의 조직들은 니제르, 부르키나파소를 발판으로 가나, 코트디부아르, 토고, 베냉과 같은 기니만(Gulf of Guinea) 연안 국가로의 진출을 시도하고 있음. 이슬람 극단주의 무장활동은 이미 해적 문제로 고통을 겪고 있는 이들 국가의 안보에 심각한 타격을 가할 수 있음.
    
    사헬 지역 무장활동 확산이 서구 국가 내 테러 공격 증가, 아프리카발(發) 이주민의 서구 국가 유입 증가 등을 야기할 수 있다는 우려가 제기됨에 따라 국제사회가 사헬 위기에 군사적으로 개입하고 있음. 말리에서는 유엔평화유지군인 말리국제통합안정 파견단(MINUSMA: United Nations Multidimensional Integrated Stabilization Mission in Mali)이 활동하고 있으며 프랑스는 사헬 지역에서 바르칸(Barkhane) 군사작전을 전개하고 있음.
    
    본 연구는 사헬 지역에 위치한 말리, 부르키나파소, 니제르에서의 이슬람 극단주의 무장활동을 분석 및 전망함과 동시에 이 문제가 한국 외교에 던지는 함의를 제시하고자 함.
    
    * 더 보기 붙임 참조
mofadocu:category
  • IFANS Forecast
  • 주요국제문제분석
mofadocu:relatedArea
mofa:yearOfData
  • "2020"^^xsd:integer
http://opendata.mofa.go.kr/mofapub/dataURL
  • "https://www.ifans.go.kr/knda/ifans/kor/pblct/PblctView.do?csrfPreventionSalt=null&pblctDtaSn=13612&menuCl=P01&clCode=P01&koreanEngSe=KOR"^^xsd:anyURI
http://opendata.mofa.go.kr/mofapub/hasAuthor
  • 김동석 아중동연구부 조교수
http://opendata.mofa.go.kr/mofapub/hasProfessor
http://opendata.mofa.go.kr/mofapub/pubDate
  • "20200812"^^xsd:integer
http://opendata.mofa.go.kr/mofapub/pubNumber
  • 2020-23
dcterms:language
  • KOR

본 페이지는 온톨로지 데이터를 Linked Data로 발행한 것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