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프리카의 통합 추진 현황 및 전망과 한국의 대(對)아프리카 정책에의 시사점 ( http://opendata.mofa.go.kr/mofapub/resource/Publication/13566 ) at Linked Data

Property Value
rdf:type
rdfs:label
  • 아프리카의 통합 추진 현황 및 전망과 한국의 대(對)아프리카 정책에의 시사점
skos:prefLabel
  • 아프리카의 통합 추진 현황 및 전망과 한국의 대(對)아프리카 정책에의 시사점
skos:altLabel
  • 아프리카의 통합 추진 현황 및 전망과 한국의 대(對)아프리카 정책에의 시사점
mofadocu:relatedCountry
bibo:abstract
  • 정책연구시리즈 2019-16
    아프리카의 통합 추진 현황 및 전망과
    한국의 대(對)아프리카 정책에의 시사점
    김동석 유럽·아프리카연구부 교수
    요 약
    탈식민 아프리카 지도자들은 범아프리카주의를 실행에 옮기는 데 실패하
    였으나, 2002년 아프리카 연합 출범으로 아프리카의 정치적, 경제적 통합 
    노력이 가속화되고 있다. 아프리카 연합은 분쟁 지역 개입, 불법 집권 지도
    자 제재, 과도기 정의 실현 지원 등을 통해 역내 정치적 통합의 토대 마련을 
    시도하고 있다. 동시에 아프리카대륙자유무역지대 출범을 통해 역내 공동 
    번영과 경제 통합을 이루려고 한다. 국가 간 이해 상충, 내정 불간섭 원칙 
    고수 등으로 정치적 통합이 난관에 부딪힌 상황에서 아프리카 지도자들은 
    정치 통합보다는 경제 통합에 우선순위를 두고 있는 것으로 보인다.
    아프리카 연합의 활동에도 불구하고 역내 정치적 통합은 국가 간 갈등, 
    지도자의 국가이익 우선 경향, 내정 불간섭 원칙 고수 등으로 어려움에 직
    면할 전망이다. 경제적 통합의 긍정적 효과는 인프라 개선, 정치적 위기 해
    소, 거버넌스 개선 등이 어느 정도 이루어져야 나타날 것으로 보인다. 한국 
    정부는 대(對)아프리카 연합 외교를 강화함과 동시에 역내 개별국가와의 경
    제협력, 인적교류 확대에 힘쓸 필요가 있다.
mofadocu:category
  • Foreign Affaris and National Security Research
  • 정책연구시리즈
mofadocu:relatedArea
mofa:yearOfData
  • "2019"^^xsd:integer
mofapub:dataURL
  • "https://www.ifans.go.kr/knda/ifans/kor/pblct/PblctView.do?csrfPreventionSalt=null&pblctDtaSn=13566&menuCl=P03&clCode=P03&koreanEngSe=KOR"^^xsd:anyURI
mofapub:hasAuthor
  • 김동석 아중동연구부 교수
mofapub:hasProfessor
mofapub:pubDate
  • "20191231"^^xsd:integer
mofapub:pubNumber
  • 2019-16
dcterms:language
  • KOR

본 페이지는 온톨로지 데이터를 Linked Data로 발행한 것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