코로나19, 글로벌 리더십, 그리고 미·중 관계 ( http://opendata.mofa.go.kr/mofapub/resource/Publication/13561 ) at Linked Data

Property Value
rdf:type
rdfs:label
  • 코로나19, 글로벌 리더십, 그리고 미·중 관계
skos:prefLabel
  • 코로나19, 글로벌 리더십, 그리고 미·중 관계
skos:altLabel
  • 코로나19, 글로벌 리더십, 그리고 미·중 관계
mofadocu:relatedCountry
bibo:abstract
  • IF 2020-10K
    코로나19, 글로벌 리더십, 그리고 미·중 관계
    May 7, 2020
    민 정 훈
    미주연구부 부교수
    중국 후베이성 우한시에서 2019년 12월 처음 보고된 후 현재까지 전 세계로 확산 중인 신종 코로나바이러스감염증-19(이하 ‘코로나19’) 사태는 ‘미국의 글로벌 리더십이 과연 건재한가’에 대한 의구
    심을 제기하고 있다. 코로나19의 팬데믹(세계적 유행병) 상황에서 미국은 글로벌 리더로서 책임 있는 리더십을 보여주지 못하고 있기 때문이다. 이에 반해 코로나19 사태의 진정 국면에 들어선 중국은 ‘의료 실크로드’를 내세워 미국 리더십의 부재를 파고들어 국제사회에서 자국의 외교·안보적 이익을 확대해 나가려는 모습을 보이고 있다. 이렇듯 코로나19의 팬데믹 국면에서 미국이 휘청거리고 있는 사이에 중국이 적극적으로 글로벌
    영향력을 확대하려는 의지를 보여줌에 따라 코로나19 사태 이후 글로벌 리더십 변화 가능성에 대한 논의가 활발하게 이루어지고 있다. 이러한 문제의식에 기초하여 이 글에서는 코로나19 사태가 글로벌 리더십 판도에 미친 영향 및 미·중 관계 전망에 대해 살펴보고자 한다.
    1. 코로나19 사태와 글로벌 리더십의 변화 가능성
    ⑴ 하드파워 측면에서의 글로벌 리더십
    ⑵ 소프트파워 측면에서의 글로벌 리더십
    2. 코로나19 사태와 미·중 관계 전망
    3. 한국 외교에의 함의
mofadocu:relatedCity
mofadocu:category
  • IFANS  FOCUS
mofa:relatedEvent
mofa:yearOfData
  • "2020"^^xsd:integer
http://opendata.mofa.go.kr/mofapub/dataURL
  • "https://www.ifans.go.kr/knda/ifans/kor/pblct/PblctView.do?csrfPreventionSalt=null&pblctDtaSn=13561&menuCl=P07&clCode=P07&koreanEngSe=KOR"^^xsd:anyURI
http://opendata.mofa.go.kr/mofapub/hasAuthor
  • 민정훈 미주연구부 부교수
http://opendata.mofa.go.kr/mofapub/hasProfessor
http://opendata.mofa.go.kr/mofapub/pubDate
  • "20200507"^^xsd:integer
http://opendata.mofa.go.kr/mofapub/pubNumber
  • 2020-10K
dcterms:language
  • KOR

본 페이지는 온톨로지 데이터를 Linked Data로 발행한 것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