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對)카타르 단교 사태에 따른 걸프 역학관계의 변화와 향후 전망 ( http://opendata.mofa.go.kr/mofapub/resource/Publication/12974 ) at Linked Data

Property Value
rdf:type
rdfs:label
  • 대(對)카타르 단교 사태에 따른 걸프 역학관계의 변화와 향후 전망
skos:prefLabel
  • 대(對)카타르 단교 사태에 따른 걸프 역학관계의 변화와 향후 전망
skos:altLabel
  • 대(對)카타르 단교 사태에 따른 걸프 역학관계의 변화와 향후 전망
mofadocu:relatedCountry
bibo:abstract
  • 대(對)카타르 단교 사태에 따른 걸프 역학관계의 변화와 향후 전망
    인남식 
    미주연구부장
    2017. 7. 14
    <목차>
    1. 문제의 제기 
    2. 단교 사태의 배경 
    3. 사태 이후 걸프지역 역학관계 전망과 함의 
    4. 고려사항
    1. 문제의 제기
    2017년 6월 5일 이후, 사우디아라비아를 필두로 아랍에미리트 및 바레인 등 걸프
    왕정국가와 이집트, 예멘(하디 정부), 모리타니, 리비아(토브룩 정부) 등 아랍 공화국,
    그리고 코모로, 세네갈, 소말리아, 에리트리아, 몰디브 등 12개국이 카타르와 전격
    단교를 선언하고 대사관 철수를 완료함.
    본 보고서는 이번 사태의 배경을 살펴보고, 상황이 단기간 내에 종결될 가능성이 높지
    않다는 전제하에 걸프지역 역학관계에 미칠 영향과 이번 사태가 갖는 이전과 다른 함의를
    분석함으로써 향후 전개될 중동정치질서의 재편 가능성을 논의하는 것을 목적으로 함.
    4. 고려사항
    가. 한국 기업과 교민 보호 노력 지속
    나. 균형 유지 입장 견지
    다. 국가별 맞춤형 외교 전략 마련 필요
mofadocu:category
  • IFANS Forecast
  • 주요국제문제분석
mofa:yearOfData
  • "2017"^^xsd:integer
mofapub:dataURL
  • "https://www.ifans.go.kr/knda/ifans/kor/pblct/PblctView.do?csrfPreventionSalt=null&pblctDtaSn=12974&menuCl=P01&clCode=P01&koreanEngSe=KOR"^^xsd:anyURI
mofapub:hasAuthor
  • 인남식 미주연구부장, 교수
mofapub:hasProfessor
mofapub:pubDate
  • "20170719"^^xsd:integer
mofapub:pubNumber
  • 2017-26
dcterms:language
  • KOR

본 페이지는 온톨로지 데이터를 Linked Data로 발행한 것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