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6년 ASEAN 관련 정상회의 결과분석: ASEAN, ASEAN+3, EAS를 중심으로 ( http://opendata.mofa.go.kr/mofapub/resource/Publication/12735 ) at Linked Data

Property Value
rdf:type
rdfs:label
  • 2016년 ASEAN 관련 정상회의 결과분석: ASEAN, ASEAN+3, EAS를 중심으로
skos:prefLabel
  • 2016년 ASEAN 관련 정상회의 결과분석: ASEAN, ASEAN+3, EAS를 중심으로
skos:altLabel
  • 2016년 ASEAN 관련 정상회의 결과분석: ASEAN, ASEAN+3, EAS를 중심으로
mofadocu:relatedCountry
bibo:abstract
  • 2016년 ASEAN 관련 정상회의 결과분석: ASEAN, ASEAN+3, EAS를 중심으로
    배긍찬 
    아시아태평양연구부 교수
    2016. 9. 30
    <목차>
    1. 2016년 ASEAN 관련 정상회의 개최 
    2. 정상회의의 주요 내용 
    3. 평가 및 전망 
    4. 한국의 고려사항
    1. 2016년 ASEAN 관련 정상회의 개최
    동남아 아세안(ASEAN: Association of Southeast Asian Nations) 10개국
    (태국, 필리핀, 인도네시아, 말레이시아, 싱가폴, 브루나이, 베트남, 라오스, 캄보디아,
    미얀마)은 2016년 9월 6~9일간 라오스 수도 비엔티엔에서 제28차 및 29차 ASEAN
    정상회의를 시작으로 제19차 ASEAN+3(한국, 중국, 일본) 정상회의와 미국, 러시아,
    호주, 뉴질랜드, 인도 등이 추가로 참여하는 제11차 동아시아 정상회의(EAS: East
    Asia Summit)를 연이어 개최했음.
    이번 ASEAN 관련 정상회의는 동남아국가들이 2015년 말 ASEAN 공동체
    (ASEAN Commuinty)를 공식 출범시킨 데 이어, 2017년에 창설 50주년을 맞는
    ASEAN과 창설 20주년을 맞은 ASEAN+3 협력체제의 미래발전 방향을 모색하는
    시점에서 개최되었음. 이와 함께 역내 최대
    안보쟁점으로 부각되고 있는 남중국해
    영유권 분쟁과 관련하여 2016년 7월 12일
    국제상설중재재판소(PCA: Permanent
    Court of Arbitration)의 판결이 미칠 영향과
    향후 이 문제의 해법 도출이 주목되는 가운데
    진행되었음.
    4. 한국의 고려사항
    가. 남중국해 문제
    나. 북한 문제
    다. RCEP 추진 문제
    라. ASEAN 국가들과 양자 양자관계 강화
mofadocu:relatedCity
mofadocu:category
  • IFANS Forecast
  • 주요국제문제분석
mofa:relatedOrg
mofadocu:relatedArea
foaf:isPrimaryTopicOf
mofa:yearOfData
  • "2016"^^xsd:integer
http://opendata.mofa.go.kr/mofapub/dataURL
  • "https://www.ifans.go.kr/knda/ifans/kor/pblct/PblctView.do?csrfPreventionSalt=null&pblctDtaSn=12735&menuCl=P01&clCode=P01&koreanEngSe=KOR"^^xsd:anyURI
http://opendata.mofa.go.kr/mofapub/hasAuthor
  • 배긍찬 아시아태평양연구부 교수
http://opendata.mofa.go.kr/mofapub/hasProfessor
http://opendata.mofa.go.kr/mofapub/pubDate
  • "20161017"^^xsd:integer
http://opendata.mofa.go.kr/mofapub/pubNumber
  • 2016-38
dcterms:language
  • KOR

본 페이지는 온톨로지 데이터를 Linked Data로 발행한 것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