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럴 히스토리 총서 『한국 외교와 외교관』 제4권: 이시영 전 주UN대사 ( http://opendata.mofa.go.kr/mofapub/resource/Publication/12542 ) at Linked Data

Property Value
rdf:type
rdfs:label
  • 오럴 히스토리 총서 『한국 외교와 외교관』 제4권: 이시영 전 주UN대사
skos:prefLabel
  • 오럴 히스토리 총서 『한국 외교와 외교관』 제4권: 이시영 전 주UN대사
skos:altLabel
  • 오럴 히스토리 총서 『한국 외교와 외교관』 제4권: 이시영 전 주UN대사
mofadocu:relatedCountry
bibo:abstract
  • 오럴 히스토리 총서 『한국 외교와 외교관』 제4권: 이시영 전 주UN대사구술자: 이시영 전 주UN대사면담자: 조동준 교수(서울대)구술시기: 2012년 8월 ~ 2012년 12월발간일: 2015년 6월 26일쪽수: 약 388페이지▶ 구술자, 면담자 약력 및 구술 상세 사항(회차별 구술 일시, 장소 등)은 외교사데이터베이스 '인물별 구술' 항목에서 보실 수 있습니다.(바로가기)차례
    Part 01 외교관이 되어 UN에서 근무하게 되기까지
                 외교관으로 진출하게 된 경위 
                 어려운 가정환경을 개척하며 
                 외무부에 들어와서 UN과에 배치되기까지 
    Part 02 1970년대 초반 UN에서 치열해진 남북한 외교 대결
                 네 번의 주UN대표부 근무 계기 
                 UN 총회에서 ‘한국 문제’를 매년 토의하게 되기까지 
                 1960년대 후반 UN 총회에서 본격화된 남북한 외교 대결 
                 1970년대 초 UN 총회 한국 문제 토의의 2년 연속 연기 
                 국제 환경의 변화가 UN 한국 문제 토의에 긍정적 영향을 끼친 경우 
                 1973년 재상정된 한국 문제가 표대결 없이 ‘합의성명’으로 결말 
                 김동조 외무장관 취임 후 유임된 국제기구국장과 UN과장 
                 1974년 UN 총회 한국 안건 상정과 공산 측 결의안 가부 동수 부결 
                 비동맹에서의 남북 대결 
                 좌절된 한국의 UN 가입 시도 
    Part 03 1970년대 중반 UN 남북한 외교 대결과 비동맹 외교
                 1975년 UN 총회에서 절정에 달한 남북한 외교 대결 
                 1975년 UN 총회에서 양측 결의안의 동시 채택 
                 1976년 ‘탈UN’ 정책 전환 
                 콜롬보에서 열린 비동맹정상회의와 그 영향 
                 제31차 UN 총회에서 남북한 외교 대결이 종막을 내리다 
                 UN에서의 남북 외교 대결에 대한 평가와 본부로의 복귀 
                 1980년대 초반 비동맹의 변화된 동향과 우리의 대응 
                 1982년 인도 뉴델리 비동맹정상회의 경과 
    Part 04 1991년 중국·대만·홍콩의 APEC 가입
                 APEC의 태동 
                 APEC 고위관리회의의 긍정적 역할 
                 중국 APEC 가입 문제의 대두 
                 APEC 창설과 한국이 3차 각료회의 주최국으로 결정되기까지 
                 중국·대만·홍콩 APEC 가입 협상: Mission Impossible의 성공 
                 협상 타결에 따른 양해각서 체결 과정 
    Part 05 1991년 서울 3차 APEC 각료회의
                 서울에 나타난 미수교 중국 대표단의 색다른 동정 
                 APEC 서울 선언문이 탄생하다 
                 한·중 수교를 앞당긴 중국·대만·홍콩의 APEC 가입과 서울 각료회의 
                 한국의 3차 APEC 각료회의 개최 경위 
                 중국식 ‘의리’ 외교 
    Part 06 IAEA에서 겪은 제1차 북핵위기 1, 1992~1993
                 주오스트리아 겸 국제기구대사가 되기까지 
                 북한이 안전조치협정을 체결하게 된 배경 
                 북한의 사찰보고서 제출과 IAEA 사찰활동의 결과로 드러난 문제들 
                 북한의 핵폐기물 저장소 의혹과 사찰 거부 
                 북한과 국제사회 간의 갈등이 드러나다 
                 IAEA에서의 북핵 문제 관련 우방전략회의의 활약 
                 북핵위기의 전환점이 된 1993년 2월 IAEA 정기이사회 
                 북한의 돌발적인 NPT 탈퇴 발표와 그 파장 
                 1993년 3월 IAEA 특별이사회 결정과 UN 안전보장이사회 대응 
    Part 07 IAEA에서 겪은 제1차 북핵위기 2, 1994
                 태풍 전야: 1993년 빌리 그레이엄의 평양 방문 
                 1994년 IAEA 이사회의 중대 결정 
                 사찰 범위를 둘러싼 IAEA와 북한 간의 갈등 
                 1994년 3월 한반도에 조성된 위기 
                 카터 전 미국 대통령의 방북으로 넘긴 위기 
                 미·북합의와 소외된 IAEA 
                 한국 대표부와 IAEA 등 국제기구 간의 긴밀한 협조 채널 
                 북한 문제를 둘러싼 미국과 IAEA와의 관계 
                 IAEA에서의 한국 외교의 동향 
                 북한 문제를 다루는 데 대한 의견 
    Part 08 UN 안전보장이사회 비상임이사국 첫 진출과 주프랑스, UN대사 시절
                 차관 시절: 최초 안전보장이사회 비상임이사국 진출 
                 주프랑스대사 시절: 한국의 OECD 가입 경위 
                 파리에서 다시 뉴욕으로 
                 독일, 인도, 브라질, 일본의 안전보장이사회 상임이사국 진출 시도와 커피클럽 
                 미얀마 인권문제와 동티모르 PKO 파견 
                 외교관으로서의 생애를 성공적으로 이끌려면 
                 후배 외교관들에 대한 조언
mofadocu:category
  • 한국외교구술기록총서
mofa:relatedPerson
mofa:relatedOrg
foaf:isPrimaryTopicOf
mofa:yearOfData
  • "2015"^^xsd:integer
mofapub:dataURL
  • "https://www.ifans.go.kr/knda/ifans/kor/pblct/PblctView.do?csrfPreventionSalt=null&pblctDtaSn=12542&menuCl=P16&clCode=P16&koreanEngSe=KOR"^^xsd:anyURI
mofapub:hasAuthor
  • 이시영 전 주UN대사
mofapub:pubDate
  • "20150625"^^xsd:integer
mofapub:pubNumber
  • 오럴히스토리 총서 4
dcterms:language
  • KOR

본 페이지는 온톨로지 데이터를 Linked Data로 발행한 것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