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코카서스 지역 전략 환경과 러시아의 대응 ( http://opendata.mofa.go.kr/mofapub/resource/Publication/11313 ) at Linked Data

Property Value
rdf:type
rdfs:label
  • 최근 코카서스 지역 전략 환경과 러시아의 대응
skos:prefLabel
  • 최근 코카서스 지역 전략 환경과 러시아의 대응
skos:altLabel
  • 최근 코카서스 지역 전략 환경과 러시아의 대응
mofadocu:relatedCountry
bibo:abstract
  • 최근 코카서스 지역 전략 환경과 러시아의 대응
    교  수  고 재 남
    2004.  6.  11
    최근 카스피해를 포함한 코카서스 지역 전략 환경의 가장 중요한 특징은 부존 에너지 자원 및 지정학적 중요성을 둘러싸고, 미국·러시아·터키·이란 및 EU·NATO·OSCE 등 유럽 국제기구 등이 뒤얽힌 ‘거대 게임’(Great Game)이 재현 및 심화되고 있음. 특히 러시아는 지전략적·지정학적·지경학적 측면에서 이 지역을 중시해 왔으며, 미국도 9·11 테러 사태 이후 석유 공급지의 다변화 및 반테러 작전의 전진 기지 확보를 위해 적극적 개입 정책을 펴고 있음.
    코카서스 지역은 부존 에너지 자원에 대한 국제적 관심 증대, 유럽과 중앙아시아를 연결 또는 유라시아 대륙의 남북의 한 축을 연결하는 지정학적 중요성, 그리고 미국·EU·NATO의 對중동 정책에서의 역할 확대 등과 같은 복합적인 요인 때문에 전략적 중요성이 더욱 커질 것임. 그렇지만, 단·중기적으로는 러시아와 미국이 경쟁과 대립보다는 협력 속에서 양국의 국익을 증대시키는 ‘거대 게임’이 지속될 것임.
    우리도 역시 새로운 석유 및 가스 공급선의 확보 및 원유 공급지의 다변화 차원에서 이 지역 국가들과의 관계 개선 및 협력 확대를 적극 도모함은 물론 지역 연구를 활성화시켜 국민들의 이해 증진은 물론 기업들의 적극적 참여를 유도해야 할 것임. 또한 중·장기적 관점에서 이 지역 국가들과의 공관 개설이 필요한지에 대한 검토도 이뤄져야 할 것임.
mofadocu:category
  • IFANS Forecast
  • 주요국제문제분석
mofa:relatedOrg
mofadocu:relatedArea
mofa:relatedEvent
foaf:isPrimaryTopicOf
mofa:yearOfData
  • "2005"^^xsd:integer
http://opendata.mofa.go.kr/mofapub/dataURL
  • "https://www.ifans.go.kr/knda/ifans/kor/pblct/PblctView.do?csrfPreventionSalt=null&pblctDtaSn=11313&menuCl=P01&clCode=P01&koreanEngSe=KOR"^^xsd:anyURI
http://opendata.mofa.go.kr/mofapub/hasAuthor
  • 고재남
http://opendata.mofa.go.kr/mofapub/pubDate
  • "20050530"^^xsd:integer
dcterms:language
  • KOR

본 페이지는 온톨로지 데이터를 Linked Data로 발행한 것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