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국 정치권력의 미란다와 크레덴다-―역사 조작과 중화사상을 중심으로 ― ( http://opendata.mofa.go.kr/mofapub/resource/Publication/11218 ) at Linked Data

Property Value
rdf:type
rdfs:label
  • 중국 정치권력의 미란다와 크레덴다-―역사 조작과 중화사상을 중심으로 ―
skos:prefLabel
  • 중국 정치권력의 미란다와 크레덴다-―역사 조작과 중화사상을 중심으로 ―
skos:altLabel
  • 중국 정치권력의 미란다와 크레덴다-―역사 조작과 중화사상을 중심으로 ―
mofadocu:relatedCountry
bibo:abstract
  • 중국 정치권력의 미란다와 크레덴다 ―역사 조작과 중화사상을 중심으로 ―
    
    1. 서론 가. 문제 제기―최근 후진타오 체제 하의 정치적 상징 사례들  (1) 정허(鄭和)의 서양 원정 600주년 ‘D-1년’ 관련 기념행사 개최  (2) 부국강병 강조  (3) ‘중화민족’ 사용 증가  (4) 유교사상 고양  (5) “여민동락(與民同樂)” 슬로건 하의 건국 55주년 기념행사 거행 나. ‘미란다’와 ‘크레덴다’의 개념 정의 및 중국에의 적용
    
    2. ‘미란다’의 상징 조작: 중국 역사의 조작 가. 중국 역사 조작의 목적과 논리 나. 역사 조작 사례  (1) 서남공정(西南工程)과 서북공정(西北工程)  (2) 하·상·주 단대공정(夏商周 斷代工程)  (3) 중화문명탐원공정(中華文明探源工程)  (4) 동북공정(東北工程)
    
    3. ‘크레덴다’의 상징 조작: 중화사상 가. 중화사상의 강조 목적 나. 중화사상의 역사적·사상적 배경  (1) ‘천자(天子)’·‘왕화(王化)’ 사상  (2) ‘대일통(大一統)’ 사상  (3) 화이사상(華夷思想)  (4) 삼민주의(三民主義)
    
    4. 평가 및 고려 사항 가. 평가 나. 고려 사항  (1) 한·미 공조 체제하에서의 한·중 관계 발전 추구  (2) 자주 역량 강화와 총체적인 역사 인식 체계 구축  (3) 동북아 지역의 고대사 연구를 위한 다자 협상틀 모색
    
    <첨부>1. 중국의 행정구역2. 중국 지도3. 중국내 소수민족 현황 (1997년 말)
mofadocu:category
  • 기타
mofa:relatedPerson
mofadocu:relatedArea
mofa:relatedEvent
foaf:isPrimaryTopicOf
mofa:yearOfData
  • "2005"^^xsd:integer
http://opendata.mofa.go.kr/mofapub/dataURL
  • "https://www.ifans.go.kr/knda/ifans/kor/pblct/PblctView.do?csrfPreventionSalt=null&pblctDtaSn=11218&menuCl=P08&clCode=P08&koreanEngSe=KOR"^^xsd:anyURI
http://opendata.mofa.go.kr/mofapub/pubDate
  • "20050224"^^xsd:integer
dcterms:language
  • KOR

본 페이지는 온톨로지 데이터를 Linked Data로 발행한 것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