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95] Casey, Richard G. 호주 외상 방한, 1959.3.30-4.1 ( http://opendata.mofa.go.kr/mofadocu/resource/Document/95 ) at Linked Data

Property Value
rdf:type
rdfs:label
  • Casey, Richard G. 호주 외상 방한, 1959.3.30-4.1
skos:prefLabel
  • [95] Casey, Richard G. 호주 외상 방한, 1959.3.30-4.1
skos:altLabel
  • Casey, Richard G. 호주 외상 방한, 1959.3.30-4.1
  • casey,richardg.호주외상방한,1959.3.30-4.1
mofadocu:index_Num
  • 116
mofadocu:startYear
mofadocu:endYear
mofadocu:relatedDept
mofadocu:classfication
  • 724.32
mofadocu:relatedCountry
mofadocu:inLol
  • C-0002
mofadocu:inFrame
  • 0522-0560
mofadocu:openYear
  • 1994
bibo:abstract
  • R. C. Casey 호주 외상의 방한(1959.3.30~4.1)에 관한 문서로서, 그 주요 내용은 다음과 같음
    1. 호주 외상 일행 방한 사실 공표
     호주 외무성 Press Release(1959.1.23)
    - 부인 및 외무성 직원 2명 동반 방한 예정
     주시드니 총영사 보고(1959.1.27)
    - 외상 이력서 동봉
     호주 외상의 외무장관 앞 방한 초청 감사서한(1959.2.4)
    2. 대통령, 호주 외상 접견 차 진해 휴가 연기(1959.2.17.자 임송본 주시드니총영사 앞 통지)
    3. 외무부, 호주 외상 일행 영접 준비
     주한 외교사절에게 호주 외상 방한을 알리면서 공항 환영식 참석 요청(1959.3.18.자 외무장관의
    주한 각국 외교사절 앞 공한)
    - 주한 교황청 등 회한
     방한 일정표
    - 부내 직원 업무 지정
     관계부처에 협조 요청
    - 내무부, 국방부, 공보실, 구 왕궁 재산 사무총국
    - 외무장관의 화가 및 서예가 초청장
    4. 호주 외상의 호주 하원에서 행한 방한보고 요지(1959.5.7.자 UNCURK 호주 대표의 외무부 앞 공한)
     방한 시 대통령, 외무장관, 국방장관 유엔군 사령관 등 면담
     호주는 1947년 유엔 한국 감시단원으로 한국과의 관계 이후 6·25동란 시에는 미국에 이어
    두번째로 참전하였고 대한 경제원조도 4위에 이르며, 이 같은 이유 등으로 방한 시 환대를 받음
     한국인의 경제 복구 및 건설 의지와 정치, 경제, 사회 전반의 현대화 의지를 느낌
     북한 공산군 및 중공군과 대치하고 있는 한국은 18개 전투사단 및 10개 예비사단에 63만 명의
    병력을 유지하고 있는 세계 군사국 중의 하나임
     미국은 2개 사단의 주한 미군 병력 및 매년 1억불 상당의 대한 경제 및 군사 원조
     대통령 및 한국민에게 한국문제에 관한 유엔에서의 호주의 정치적·도덕적 지속적 지원 표명
     한·일 양국은 역사적으로 불행한 관계이지만, 이 같은 관계를 개선할 필요성을 절실히 인식하고 있음
foaf:isPrimaryTopicOf
mofa:yearOfData
  • "1959"^^xsd:integer

본 페이지는 온톨로지 데이터를 Linked Data로 발행한 것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