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818] 중공의 UN(유엔) 가입 및 각국의 중공 승인 ( http://opendata.mofa.go.kr/mofadocu/resource/Document/818 ) at Linked Data

Property Value
rdf:type
rdfs:label
  • 중공의 UN(유엔) 가입 및 각국의 중공 승인
skos:prefLabel
  • [818] 중공의 UN(유엔) 가입 및 각국의 중공 승인
skos:altLabel
  • 중공의 UN(유엔) 가입 및 각국의 중공 승인
  • 중공의un(유엔)가입및각국의중공승인
mofadocu:index_Num
  • 934
mofadocu:startYear
mofadocu:endYear
mofadocu:relatedDept
mofadocu:classfication
  • 731.21
mofadocu:inLol
  • H-0005
mofadocu:inFile
  • 4
mofadocu:inFrame
  • 0001-0234
mofadocu:openYear
  • 1995
bibo:abstract
  • 중국(구 중공)의 유엔 가입 관련 다음 내용들이 수록되어 있음.
    1. 프랑스의 중국(구 중공) 승인
     1952년 불-중 간 민간 베이스의 통상협정 체결
     1963년 드골 대통령 특사 중국 방문
     프랑스 외상은 1964.1.31.을 전후하여 중국을 승인할 것이라고 밝힘.
    2. 프랑스의 중국 승인에 대한 각국의 반응
     미국: 매우 불쾌하게 생각한다는 항의 각서를 프랑스에 전달
     소련: 공식 입장을 밝히지 않았으나, 프랑스의 계획에 반대하지 않을 것임을 시사
     이탈리아: 이 문제를 공적으로 검토하고 있음을 밝힘.
     벨기에: 일보 후퇴를 의미한다고 논평
     캄보디아: 프랑스의 조치는 합리적이라고 말함.
     프랑스령 아프리카 국가: 대부분의 국가들이 중국 승인의 방향으로 기울어질 것으로 예상되나
    일거에 공동행동을 취할 징조는 아직 보이지 않음.
    3. 중국의 유엔 가입 문제
     제16차 유엔총회에서 중국 대표권의 변경문제가 헌장 13조에 의한‘Important Question’으로서
    2/3의 다수결을 요하는 사항으로 가결됨.
     따라서 프랑스의 중국 승인이 중국의 유엔 가입을 어느 정도 촉진시킬 것인가 하는 문제는 현
    재까지 대표권 변경 결의안에 반대 또는 기권하던 국가들이 어느 정도 프랑스의 선례를 따를
    것인가에 좌우될 것임.
mofadocu:relatedArea
foaf:isPrimaryTopicOf
mofa:yearOfData
  • "1959"^^xsd:integer

본 페이지는 온톨로지 데이터를 Linked Data로 발행한 것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