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99] UN(유엔) 총회, 제16차. New York, 1961.9.19-12.21. 전7권 한국문제토의 대비교섭Ⅱ (대표단 활동보고, 1961.11-12) ( http://opendata.mofa.go.kr/mofadocu/resource/Document/799 ) at Linked Data

Property Value
rdf:type
rdfs:label
  • UN(유엔) 총회, 제16차. New York, 1961.9.19-12.21. 전7권
skos:prefLabel
  • [799] UN(유엔) 총회, 제16차. New York, 1961.9.19-12.21. 전7권 한국문제토의 대비교섭Ⅱ (대표단 활동보고, 1961.11-12)
skos:altLabel
  • UN(유엔) 총회, 제16차. New York, 1961.9.19-12.21. 전7권
  • un(유엔)총회,제16차.newyork,1961.9.19-12.21.전7권
mofadocu:index_Num
  • 915
mofadocu:volumeNum
  • V.4
mofadocu:volumeName
  • 한국문제토의 대비교섭Ⅱ (대표단 활동보고, 1961.11-12)
mofadocu:startYear
mofadocu:endYear
mofadocu:relatedDept
mofadocu:classfication
  • 731.2
mofadocu:inLol
  • H-0002
mofadocu:inFile
  • 9
mofadocu:inFrame
  • 0001-0400
mofadocu:openYear
  • 1995
bibo:abstract
  • 제16차 유엔총회에서의 한국문제 토의 주요 내용 및 대표단 활동 내용은 아래와 같음
    1. 한국문제 토의 주요 내용
     외기권의 평화적 이용 위원회 보고서를 한국문제보다 앞서 토의하자는 Canada 제안이 56대
    13, 기권 16표로 채택됨(12.12)
     미국 Yost 대사가 알제리아 문제 토의를 30분간 연기하고 한국 외무장관의 연설을 듣자는 동의
    를 제출, 37대 19, 기권 21표로 채택됨(12.14)
     미국 Yost 대사는 ‘제1위원회는 북한의 회답이 한국문제에 관한 유엔의 권능과 권위를 명확히
    수락하지 않았음을 인정하여 북한 대표가 한국문제 토의에 참석할 근거가 없다고 결정한다’는
    결의안을 제출, 54대 17, 기권 23표로 채택됨(12.19)
     한국문제의 실질적 토의는 12.20. 오후까지 계속되었고 참전 15개국 공동결의안이 55 대 11, 기
    권 20표로 채택됨
    2. 대표단 활동 주요 내용
     주요인사 및 각국대표 면담
    - 유엔 사무총장, 총회의장, 제1위원회 의장 및 미국대사를 비롯 각국 대표들을 수시 접촉, 한국 입장
    지지를 요청함
     아·아그룹 국가 접촉
    - 과거의 자유진영에 치우쳤던 교섭을 지양하고 유엔에서 casting vote로서의 역할이 증대되고 있는 신
    생 아·아그룹 제국의 지지획득을 위해 적극 활동함
mofa:relatedPerson
mofa:yearOfData
  • "1961"^^xsd:integer

본 페이지는 온톨로지 데이터를 Linked Data로 발행한 것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