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94] UN(유엔) 총회, 제15차. New York, 1960.9.20-61.4.20. 전3권 기본문서Ⅱ (15차총회 제2회기 활동보고, 1961.1-4) ( http://opendata.mofa.go.kr/mofadocu/resource/Document/794 ) at Linked Data

Property Value
rdf:type
rdfs:label
  • UN(유엔) 총회, 제15차. New York, 1960.9.20-61.4.20. 전3권
skos:prefLabel
  • [794] UN(유엔) 총회, 제15차. New York, 1960.9.20-61.4.20. 전3권 기본문서Ⅱ (15차총회 제2회기 활동보고, 1961.1-4)
skos:altLabel
  • UN(유엔) 총회, 제15차. New York, 1960.9.20-61.4.20. 전3권
  • un(유엔)총회,제15차.newyork,1960.9.20-61.4.20.전3권
mofadocu:index_Num
  • 910
mofadocu:volumeNum
  • V.2
mofadocu:volumeName
  • 기본문서Ⅱ (15차총회 제2회기 활동보고, 1961.1-4)
mofadocu:startYear
mofadocu:endYear
mofadocu:relatedDept
mofadocu:classfication
  • 731.2
mofadocu:inLol
  • H-0002
mofadocu:inFile
  • 4
mofadocu:inFrame
  • 0001-0213
mofadocu:openYear
  • 1995
bibo:abstract
  • 제15차 유엔총회 제2회기(1961.1~4월) 제1위원회 한국문제 관련 회의 결과는 아래와 같음
    1. 제1144차(4.10)~1148차(4.14) 회의에서 한국 통일문제가 토의됨
    2. 소련 등 공산측과 일부 중립 진영의 집요한 반대가 있었으나 한국 대표단은 1148차 회의에 참석하여
    발언함
    3. 북한의 경우, 한국 문제에 관한 유엔의 권능과 권위를 명백히 수락하지 않는 한 한국문제 토의에 초청
    하지 않기로 결정되었음에도 북한이 유엔의 권위를 거부함에 따라 민주 우방은 북한이 참석할 수 없
    다는 입장을 견지함
    4. 대표단은 한국의 유엔 가입을 위하여 정식으로 원서를 제출하였고, 제16차 총회에서 이를 통과시키
    도록 추진할 계획임
    5. 금번 총회는 콩고 및 쿠바 사태로 격렬한 논쟁이 전개되어 한국문제 토의가 연기됨에 따라 우리 수석
    대표 정 외무장관의 연설과 유엔 한국통일 부흥위원단 의장의 보고를 서면으로 대체함
mofa:yearOfData
  • "1960"^^xsd:integer

본 페이지는 온톨로지 데이터를 Linked Data로 발행한 것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