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924] 사우디아라비아 정세 ( http://opendata.mofa.go.kr/mofadocu/resource/Document/7924 ) at Linked Data

Property Value
rdf:type
rdfs:label
  • 사우디아라비아 정세
skos:prefLabel
  • [7924] 사우디아라비아 정세
skos:altLabel
  • 사우디아라비아 정세
  • 사우디아라비아정세
mofadocu:index_Num
  • 8926
mofadocu:startYear
mofadocu:endYear
mofadocu:relatedDept
mofadocu:classfication
  • 772
mofadocu:relatedCountry
mofadocu:inLol
  • O-0043
mofadocu:inFile
  • 36
mofadocu:inFrame
  • 0001-0191
mofadocu:openYear
  • 2006
bibo:abstract
  • 1975년 중 사우디아라비아의 정세 동향임.
    
    1. 외무부가 1975.4월 작성한 ‘화이잘 사우디아라비아 국왕의 피살과 그 영향’의 요지는 아래와 같음.
    • 피살경위
    - 1975.3.25. 리야드 왕궁에서 개최된 ‘모하메드’ 탄신일 축하 리셉션에서 하객접견 중 조현병  환자인 조카에 의해 저격, 살해됨
    • 각국의 태도
    - 조문사절 파견: 21개국
    - 국가원수 명의 조전 발송: 6개국
    • 대내적 영향
    - 왕실의 전통에 따라 황태자가 국왕으로 즉위
    • 대외적 영향
    - 신임 왕이 전임 왕 수준의 영도력 및 국제적 영향력을 발휘하리라고 기대하기는 난망
    - 미국의 중동전 협상과 석유협상 외교에 난관 봉착
    • 한국에 미칠 영향
    - 친한적이고 철저한 반공주의자인 ‘화이잘’왕의 사망으로 아랍권 내에서 한국의 적극적인 대변자 및 지원세력 상실
    
    2. 외국 주요인사의 사우디 방문
    • 멕시코 대통령(1975.7.31.~8.4.) 
    • 세네갈 대통령(1975.10.26.~11.1.) 
    • 영국 외무장관(1975.11.23. 영국・사우디 문화협정 서명)
    
    3. 주요 사우디 인사의 각국 방문
    • 문교장관의 대만(구 자유중국) 방문(1975.5.8.~10.)
    • 수상의 프랑스 방문(1975.7.20.~24.)
    • 황태자의 영국 방문(1975.10.20.~23.)
    • 칼리드 국왕의 쿠웨이트 방문(1975.12.24.)
mofadocu:relatedArea
foaf:isPrimaryTopicOf
mofa:yearOfData
  • "1975"^^xsd:integer

본 페이지는 온톨로지 데이터를 Linked Data로 발행한 것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