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90] KNA기 납북 및 반환촉구 ( http://opendata.mofa.go.kr/mofadocu/resource/Document/790 ) at Linked Data

Property Value
rdf:type
rdfs:label
  • KNA기 납북 및 반환촉구
skos:prefLabel
  • [790] KNA기 납북 및 반환촉구
skos:altLabel
  • KNA기 납북 및 반환촉구
  • kna기납북및반환촉구
mofadocu:index_Num
  • 906
mofadocu:startYear
mofadocu:endYear
mofadocu:relatedDept
mofadocu:classfication
  • 729.55
mofadocu:inLol
  • G-0002
mofadocu:inFile
  • 16
mofadocu:inFrame
  • 0001-0369
mofadocu:openYear
  • 1995
bibo:abstract
  • 1958.2.16. 납북된 대한민국 항공사 여객기의 납치 및 탑승자 송환 경위는 아래와 같음
    1. 1958.2.16. 부산발 서울행 KNA 여객기 납북(한국인 30, 미국인 2, 서독인 2명 탑승)
     2.18. 유엔측은 탑승자, 여객기 및 화물의 즉시 반환을 요구(공산측 거부, 정부 대 정부 교섭 요구)
     2.18. 한국적십자사, 국제적십자사에 송환 촉구 전문 발송
     2.22. 북한 방송 보도, ‘승객 전원 무사, 원하는 자 송환’
     3.3. 유엔측, 제171차 비서장 회의에서 납북인사, 여객기 및 화물 반환 요구(공산측 거부)
     3.6. 공산측, 제173차 비서장 회의에서 한국인 22, 미국인 2, 서독인 2명을 송환
     3.19. 유엔측이 군사정전위원회 회의에서 납북기의 송환을 요구하였으나, 공산측은 군사 정전위
    원회와는 관련이 없는 문제라고 주장하면서 거부하였고, 이후 유엔측의 거듭된 요구에도 북한
    측이 계속 거부함
    2. 1961.12.23. 외무부, 납북 항공기의 조속 반환을 공산측에 강력히 촉구할 것을 유엔 군사정전위 한국
    군 대표단에 지시
mofa:relatedOrg
foaf:isPrimaryTopicOf
mofa:yearOfData
  • "1958"^^xsd:integer

본 페이지는 온톨로지 데이터를 Linked Data로 발행한 것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