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871] 캄보디아(구 크메르) 정세 ( http://opendata.mofa.go.kr/mofadocu/resource/Document/7871 ) at Linked Data

Property Value
rdf:type
rdfs:label
  • 캄보디아(구 크메르) 정세
skos:prefLabel
  • [7871] 캄보디아(구 크메르) 정세
skos:altLabel
  • 캄보디아(구 크메르) 정세
  • 캄보디아(구크메르)정세
mofadocu:index_Num
  • 8873
mofadocu:startYear
mofadocu:endYear
mofadocu:relatedDept
mofadocu:classfication
  • 772
mofadocu:relatedCountry
mofadocu:inLol
  • O-0042
mofadocu:inFile
  • 11
mofadocu:inFrame
  • 0001-0254
mofadocu:openYear
  • 2006
bibo:abstract
  • 1974~75년 중 캄보디아(구 크메르) 정세에 관한 주캄보디아대사의 보고내용임.
    
    1. 론놀정권의 롱보렛 캄보디아 수상은 1974.7.9. 캄보디아 문제에 관한 새로운 정책선언을 발표함.
    • 동 선언은 1973.7.6. 캄보디아 외상이 발표한 평화안을 대체하는 것으로서 무조건 즉각적인 협상을 제의한 것이 특징임.  
    • 1974.7.11. 시하누크가 이끄는 망명정부는 캄보디아 정부의 협상 제의가 미국의 지시에 의한 것으로 이에 전적으로 반대하며 최후까지 투쟁할 것이라고 밝힘.
    
    2. 1974년 제29차 유엔총회 표결 결과, 캄보디아 정부가 56:54로 유엔대표권을 가까스로 유지 하였으나, 시아누크 망명정부(공산정권)에 대한 승인이 점점 늘어나는 추세가 계속됨.
    
    3. 공산군의 공격으로 론놀세력의 후퇴가 계속되었으며, 특히 1975.1.1. 공산군의 수도 공격개시 이래 사태가 급격히 악화됨.
    • 이스라엘, 네팔, 싱가포르, 호주 등은 프놈펜 주재 공관을 철수시킴.
    • 한국, 미국, 일본, 인도네시아 등 14개국은 공관을 잔류시킴. 
    • 주캄보디아대사관은 공관철수계획을 아래와 같이 시행함.
    - 외무부가 3.17. 주캄보디아대사에게 공관 및 직원철수에 관한 재량권 부여
    - 동 대사가 3.18. 단계적 철수계획수립 및 시행
mofa:relatedPerson
foaf:isPrimaryTopicOf
mofa:yearOfData
  • "1974"^^xsd:integer

본 페이지는 온톨로지 데이터를 Linked Data로 발행한 것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