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86] 제3국에 송환된 반공포로관계철 ( http://opendata.mofa.go.kr/mofadocu/resource/Document/786 ) at Linked Data

Property Value
rdf:type
rdfs:label
  • 제3국에 송환된 반공포로관계철
skos:prefLabel
  • [786] 제3국에 송환된 반공포로관계철
skos:altLabel
  • 제3국에 송환된 반공포로관계철
  • 제3국에송환된반공포로관계철
mofadocu:index_Num
  • 902
mofadocu:startYear
mofadocu:endYear
mofadocu:relatedDept
mofadocu:classfication
  • 729.5
mofadocu:inLol
  • G-0002
mofadocu:inFile
  • 12
mofadocu:inFrame
  • 0001-0130
mofadocu:openYear
  • 1995
bibo:abstract
  • 1954.1.23. 북한 송환을 거부하고 포로 신분으로부터 해방된 반공 북한포로 중 휴전협정 부록
    제11조 규정에 따라 중립국인 인도에 송환된 사람들은 아래와 같음
    1. 북한 송환을 거부한 후 1954.2.7. 중립국인 인도로 보내진 반공포로는 총 88명(한인 76, 중국인 12)이
    었고, 인도 정부는 이들 중 4명을 북한으로 송환함
    2. 1954.4.11. 멕시코 정부는 자국 정착을 희망하는 포로를 받아들일 용의가 있다고 발표하였고, 이어서
    브라질, 아르헨티나도 인수 수락
    3. 1954.5.25. 한인 포로들은 억류 및 압박생활에 항의, 인도군 당국에 반항하고 수상관저 앞에서 시위
    하였고 유엔 사무총장에게 호소문을 송부함
    4. 1956.2.4. 브라질에 57명(한인 50명)이 송환되고 아르헨티나에 12명(1956.10.27. 7명, 1957. 8.11. 5명)이 송환됨
    5. 1957.9월 현재 인도에 체류 한인 반공포로는 10명임
    6. 그 후 인도 체류 이택주, 김봉국 및 아르헨티나 거주 이처균 등은 본인들의 귀국 희망 탄원에 따라
    한국으로 귀환함
foaf:isPrimaryTopicOf
mofa:yearOfData
  • "1960"^^xsd:integer

본 페이지는 온톨로지 데이터를 Linked Data로 발행한 것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