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406] 미국 안보관계 인사 방한 ( http://opendata.mofa.go.kr/mofadocu/resource/Document/7406 ) at Linked Data

Property Value
rdf:type
rdfs:label
  • 미국 안보관계 인사 방한
skos:prefLabel
  • [7406] 미국 안보관계 인사 방한
skos:altLabel
  • 미국 안보관계 인사 방한
  • 미국안보관계인사방한
mofadocu:index_Num
  • 8364
mofadocu:startYear
mofadocu:endYear
mofadocu:relatedDept
mofadocu:classfication
  • 729.612
mofadocu:relatedCountry
mofadocu:inLol
  • G-0043
mofadocu:inFile
  • 15
mofadocu:inFrame
  • 0001-0063
mofadocu:openYear
  • 2006
bibo:abstract
  • 1975년 중 미국 안보관계 인사가 방한함.
    
    1. A. Jordan 미 국방부 국제안보담당 부차관보(1975.1.28.~31.)
    • 목적: 주한미군 주둔 실태파악 및 극동 안보문제 협의
    • 국방부차관 및 합참의장 면담
    
    2. N. Gayler 미 태평양지구 사령관(1975.5.27.~30.)
    • 목적: 유엔군사령부 및 주한미군 시찰
    • 국방부장관 예방, 한미 1군단 및 미 제2사단 시찰, 오산 미 공군기지 시찰
    
    3. M. Abramowitz 미 국방부 부차관보(1975.6.3.~5.)
    • 주요일정
    - 국방부장관 및 합참의장 예방, 한국 전방부대 시찰
    - 외무부장관 예방, 국방과학연구소 방문 등 
    • 외무부장관 면담(6.5.) 시 장관 설명요지
    - 김일성 중국(구 중공) 방문과 중국의 입장: 김일성은 한반도 적화통일 야욕을 실현시키기 위한 중국의 지원 획득 목적, 중국은 묵인하는 듯한 입장을 취한 것으로 생각
    - 북한에 대한 국제적 승인추세와 동 추세가 미치는 영향: 북한승인 국가수가 증가되기는 하였으나 이러한 추세는 더 이상 계속되지 않을 것, 북한승인 추세로 말미암아 비동맹회의에서 북한지지 세력이 크게 증가 
    
    4. F. Weyand 미 육군참모총장(1975.6.17.~19.)
    • 목적: 주한미군 시찰
    • 방한 주요일정
    - 주한 미국대사, 미8군 사령관 예방
    - 국방부장관, 합참의장, 육군 참모총장 예방
    - 한미 1군단 및 제1군 사령부, 주한 미군기지 시찰 등
mofa:relatedPerson
foaf:isPrimaryTopicOf
mofa:yearOfData
  • "1975"^^xsd:integer

본 페이지는 온톨로지 데이터를 Linked Data로 발행한 것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