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386] CSCE(구주안보협력회의) 정상회담, Helsinki(핀란드) 1975.7.30-8.1 전2권 기본문서 ( http://opendata.mofa.go.kr/mofadocu/resource/Document/7386 ) at Linked Data

Property Value
rdf:type
rdfs:label
  • CSCE(구주안보협력회의) 정상회담, Helsinki(핀란드) 1975.7.30-8.1 전2권
skos:prefLabel
  • [7386] CSCE(구주안보협력회의) 정상회담, Helsinki(핀란드) 1975.7.30-8.1 전2권 기본문서
skos:altLabel
  • CSCE(구주안보협력회의) 정상회담, Helsinki(핀란드) 1975.7.30-8.1 전2권
  • csce(구주안보협력회의)정상회담,helsinki(핀란드)1975.7.30-8.1전2권
mofadocu:index_Num
  • 8326
mofadocu:volumeNum
  • V.1
mofadocu:volumeName
  • 기본문서
mofadocu:startYear
mofadocu:endYear
mofadocu:relatedDept
mofadocu:classfication
  • 729.33
mofadocu:relatedCountry
mofadocu:inLol
  • G-0041
mofadocu:inFile
  • 4
mofadocu:inFrame
  • 0001-0186
mofadocu:openYear
  • 2006
bibo:abstract
  • 1975.7.30.~8.1. 개최되는 CSCE(구주안보협력회의) 정상회담 관련 사항임.
    
    1. CSCE 정상회담 경위
    • 1954.2월  베를린 4개국 외상회의에서 소련 외상이 동・서독을 포함한 전유럽국가 간 집단안보조약 체결 제의, 미국・영국・프랑스 서방 3개국은 동 제의거부
    • 1968.5월  나토이사회는 베를린 문제의 조기타결과 동・서 감군회담 개최를 전유럽 안보협력회의의 전제조건으로 제시
    • 1972.1월  소련은 상기 서방 측 제의에 동의
    • 1973.7월  CSCE 제1단계 외상회의를 헬싱키에서 개최, 의제(유럽안전보장과 협력, 동・서 경제협력, 인간・정보・문화교류) 확정, 1973.10월 동・서 상호감군회의 본회의 개최
    • 1973.7.14. 제3단계 정상회담 개최일자 및 장소(1975.7.30., 헬싱키) 합의
    
    2. 1975.7.21. 뉴욕타임즈지는 ‘Road to Helsinki: Moscow hung on, sacrificed some, won most of its goal’ 제하 CSCE 정상회의에 관한 아래 요지의 해설기사를 게재함.
    • 소련은 회의참가국이 전후 유럽의 정치적 및 지리적 현상을 수락하도록 한 이익을 얻은 반면 군사훈련실시의 사전통보 및 보다 자유로운 인적 및 문화교류에 관해 양보
    • 소련이 CSCE를 서두른 것은 브레즈네프 소련 당 서기장이 1971년 공산당대회에서 전후 문제처리 종결을 약속했으며 다음 당 대회가 1976.2월에 개최될 예정이기 때문
    • 금번 회의가 종결되면 소련은 브레즈네프 서기장이 주장한 바 있는 아시아 집단안보체제를 위한 유사한 안보회의 개최 압력을 가중할지도 모름.
    
    3. 1975.7.30. 헬싱키 Finlandia Hall에서 35개국 3단계 CSCE가 개막되었으며 동 회담은 3일간에 걸쳐 참가국 원수 또는 수상들의 기조연설 후 2단계 회담에서 합의된 문서에 최종 서명함으로써 유럽안보에 관한 헬싱키선언을 채택하고 막을 내릴 예정임.
mofadocu:relatedArea
foaf:isPrimaryTopicOf
mofa:yearOfData
  • "1973"^^xsd:integer

본 페이지는 온톨로지 데이터를 Linked Data로 발행한 것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