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373] 한국 안보관계 자료 ( http://opendata.mofa.go.kr/mofadocu/resource/Document/7373 ) at Linked Data

Property Value
rdf:type
rdfs:label
  • 한국 안보관계 자료
skos:prefLabel
  • [7373] 한국 안보관계 자료
skos:altLabel
  • 한국 안보관계 자료
  • 한국안보관계자료
mofadocu:index_Num
  • 8311
mofadocu:startYear
mofadocu:endYear
mofadocu:relatedDept
mofadocu:classfication
  • 729.19
mofadocu:relatedCountry
mofadocu:inLol
  • G-0040
mofadocu:inFile
  • 7
mofadocu:inFrame
  • 0001-0064
mofadocu:openYear
  • 2006
bibo:abstract
  • 미국 브루킹스 연구소의 연구보고서 “East Asia and U.S. Security" 중 한국 안보정세 관련 내용임.
    
    1. 사설
    • 4대 강국의 한반도 분쟁 개입 가능성
    • 한반도 위협 감소 방안모색이 미국・일본 등 열강의 관심사
    
    2. 남북한 간 군사력 균형
    • 북한은 지난 4년간 전쟁 준비에 전념하나, 남한 대비 압도적 우세는 아님.
    • 한국은 미국의 공군지원과 군사원조로 북한의 침략저지 가능
    
    3. 남북한 간 정치적 대치
    • 남북한은 각자 자신의 제도하의 통일을 희망
    • 북한의 간첩 남파와 남한 비난공격이 북한의 통일제안에 대한 의심과 남한의 반공의식 강화 등 역효과 초래
    
    4. 남북대화
    • 촉진요인: 대남혁명 부진, 북한의 경제성장 둔화와 한국의 급속한 경제발전, 미국・중국(구 중공)・소련 관계개선으로 냉전외교 지속 불능
    • 결과: 남북한 간의 긴장완화와 정치대결 중점, 분쟁 위험성 상존 
    
    5. 강대국과 한국통일
    • 한반도의 안정유지를 위한 군사력 균형 도모, 일개 강대국에 대한 군사력 의존 지양
    • 남북한 간 군비축소를 위한 강대국 간의 군사장비지원제한협정 체결 등 바람직
    
    6. 미국정책의 의미
    • 남북한 간의 군사적 분규 방지
    • 한반도에서의 평화유지에 대한 4개 강국의 이익 강화
    
    7. 연구서 평가
    • 미국의 대중국 봉쇄정책에서 화해정책으로 전환하는 시점에 동아시아에 대한 새로운 정책모색의 일환으로 연구서를 발간
    • 남북대화의 진전 및 한반도의 평화 보장시까지 미국의 각종 공약준수 필요성 주장
foaf:isPrimaryTopicOf
mofa:yearOfData
  • "1974"^^xsd:integer

본 페이지는 온톨로지 데이터를 Linked Data로 발행한 것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