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371] 월남 공산화 이후의 동남아 안보 정세 ( http://opendata.mofa.go.kr/mofadocu/resource/Document/7371 ) at Linked Data

Property Value
rdf:type
rdfs:label
  • 월남 공산화 이후의 동남아 안보 정세
skos:prefLabel
  • [7371] 월남 공산화 이후의 동남아 안보 정세
skos:altLabel
  • 월남 공산화 이후의 동남아 안보 정세
  • 월남공산화이후의동남아안보정세
mofadocu:index_Num
  • 8309
mofadocu:startYear
mofadocu:endYear
mofadocu:relatedDept
mofadocu:classfication
  • 729.19
mofadocu:relatedCountry
mofadocu:inLol
  • G-0040
mofadocu:inFile
  • 5
mofadocu:inFrame
  • 0001-0158
mofadocu:openYear
  • 2006
bibo:abstract
  • 1974~75년 중 월남 공산화 이후 동남아 안보정세 관련공관의 보고임.
    
    1. 뉴질랜드
    • 주둔 외국군은 없으며, 통가 및 피지의 군인 훈련생 접수 훈련
    
    2. 말레이시아
    • 인도차이나 적화 이후 말레이시아가 제창해온 동남아 중립화 실현 노력 박차
    • 캄보디아(구 크메르) 및 공산 월남정권의 조기 승인 및 외교관계 정상화 노력 경주
    • 국내 공산 게릴라운동 진압 태세 강화
    
    3. 싱가포르
    • 영국군 1,500명, 뉴질랜드군 1,200명 주둔, 호주 군대의 완전 철수
    • 싱가포르는 아세안 중 최후에 중국(구 중공)과 수교할 방침 견지
    
    4. 인도네시아
    • 외국 주둔기지는 없으며, 방산품 수출 관련 40명의 미군 연락관, 14명의 호주군 연락관 주둔
    • 인도네시아의 이니셔티브로 아세안의 정치적 내지 안보적 협력기구로 발전, 강화 움직임 전개
    
    5. 태국
    • 2.7만 명의 미군 주둔
    • 1969년 이후 연례적으로 200명 규모의 캄보디아군, 소규모의 라오스군 훈련
    • 아세안과 협의 체제 구축. 베트남 및 중국과 수교 이후 미국의 원조 지향 전망
    
    6. 필리핀
    • 클라크 및 수빅기지에 미군 1.4만 명 주둔
    • 지역세력 균형 재편성까지 안보유지상 국내통치 체제 강화, 국내 공산세력 활동 격퇴
    • 대내적인 자주국방력 강화, 대외적으로 중국・소련 등 공산권과의 수교 등 다원화 추진
    
    7. 호주
    • 미국 해군 통신소 위치
mofadocu:relatedArea
foaf:isPrimaryTopicOf
mofa:yearOfData
  • "1974"^^xsd:integer

본 페이지는 온톨로지 데이터를 Linked Data로 발행한 것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