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022] 신유고연방(구 유고슬라비아) · 소련 관계 ( http://opendata.mofa.go.kr/mofadocu/resource/Document/7022 ) at Linked Data

Property Value
rdf:type
rdfs:label
  • 신유고연방(구 유고슬라비아) · 소련 관계
skos:prefLabel
  • [7022] 신유고연방(구 유고슬라비아) · 소련 관계
skos:altLabel
  • 신유고연방(구 유고슬라비아) · 소련 관계
  • 신유고연방(구유고슬라비아)·소련관계
mofadocu:index_Num
  • 7954
mofadocu:startYear
mofadocu:endYear
mofadocu:relatedDept
mofadocu:classfication
  • 722.12
mofadocu:relatedCountry
mofadocu:inLol
  • C-0083
mofadocu:inFile
  • 25
mofadocu:inFrame
  • 0001-0016
mofadocu:openYear
  • 2006
bibo:abstract
  • 1. 소련・유고 정상회담 개최
    • 소련 모스크바방송은 1973.9.24. 코시긴 소련 수상이 유고를 방문, 티토 유고 대통령 및 비에지치 유고 수상과 정상회담을 갖고 정치, 경제, 무역관계 및 기타 국제문제를 토의할 것이라고 보도함.
    • 외무부의 분석
    - 비동맹 독자적 사회주의노선을 추구하고 있는 유고는 1948.6월 코민포름에서 추방당한 것을 계기로 대소련 관계가 악화되었으나, 1955년 흐루시초프 대유고 정책개선으로 양국 관계는 호전되기 시작
    - 1971.9월 브레즈네프 소련 공산당 서기장의 유고 방문과 1972.6월 티토 대통령의 소련 방문으로 양국 관계는 보다 긴밀화
    - 이번 정상회담 목적은 소련의 대발칸 정책의 강화를 위한 유고와의 관계 긴밀화와 양국간 경제협력 문제 및 티토 이후의 대책 등을 종합적으로 다루려는 데 있을 것으로 관측
    - 특히 1970년 독일・소련조약을 필두로 동구국가가 독일(구 서독)과 관계개선을 한 이후 구주정세가 안정화되고 있는 만큼 소련의 대발칸 정책은 보다 중요성이 대두
    - 중국(구 중공)의 대발칸 진출을 억제하는 한편, 티토 사후의 유고에 대한 소련의 영향력을 강화하여 유고를 소련권에 재결속시키기 위해서도 소련의 경제협력문제를 표면적으로 강조 하면서 유고 수뇌들과의 정치적 회담을 개최하게 된 것으로 추정
    
    2. 신유고연방(구 유고슬라비아)의 대소련 관계 연구자료(1975.12.4. 주오스트리아대사 송부)
    • 최근 신유고연방에서 일어나고 있는 반코민포름 캠페인을 둘러싼 유고 국내 정세 및 소련의 대유고 정책 등에 관한 내용
    - Radio Free Europe(1975.11.4.) 및 기타 일간지, 공산당 일간지(1975.11.15.~12.1.) 보도내용
mofa:relatedPerson
mofadocu:relatedArea
foaf:isPrimaryTopicOf
mofa:yearOfData
  • "1973"^^xsd:integer

본 페이지는 온톨로지 데이터를 Linked Data로 발행한 것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