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6938] 한국의 대팔레스타인(PLO) 정책 ( http://opendata.mofa.go.kr/mofadocu/resource/Document/6938 ) at Linked Data

Property Value
rdf:type
rdfs:label
  • 한국의 대팔레스타인(PLO) 정책
skos:prefLabel
  • [6938] 한국의 대팔레스타인(PLO) 정책
skos:altLabel
  • 한국의 대팔레스타인(PLO) 정책
  • 한국의대팔레스타인(plo)정책
mofadocu:index_Num
  • 7870
mofadocu:startYear
mofadocu:endYear
mofadocu:relatedDept
mofadocu:classfication
  • 721.1
mofadocu:relatedCountry
mofadocu:inLol
  • C-0081
mofadocu:inFile
  • 5
mofadocu:inFrame
  • 0001-0051
mofadocu:openYear
  • 2006
bibo:abstract
  • 1. 1975.2.4.~3.14. 오스트리아 비엔나에서 개최된 UN Conference on the Representation of States in their Relations with the International Organizations 회의에서 PLO(팔레스타인 해방기구) 문제와 관련하여 한국대표가 취한 입장은 아래와 같음.
    • 아랍국가들이 PLO에게 정식 옵서버자격을 부여하자는 결의안을 동 회의 총회에 제출한바, 한국 대표는 절차문제(동 결의안의 총회 상정문제)에는 찬성하고, 본질문제(옵서버자격 부여문제)에는 기권함.
    
    2. 외무부 아중동국은 제7차 WMO(세계기상기구) 총회에서 제기될 가능성이 있는 PLO에 대한 옵서버자격 부여문제와 관련하여 한국이 아래 입장을 취하는 것이 좋겠다는 의견을 방교국장에게 1975.4월 제시함.
    • 절차문제에는 찬성하고 본질문제에는 기권함.
    
    3. Ericson 주한 미국대사관 부대사는 1975.8.1. 외무부 정무차관보에게 PLO에 관한 미국 측 입장을 아래와 같이 전달함.
    • 미국 정부는 한국이 PLO가 팔레스타인 인민의 유일한 대표임을 인정하는 내용의 성명을 발표 하지 않기를 희망함. 이러한 공식성명은 중동평화의 전망을 높이게 하는 것보다는 흐리게 하는데 영향을 미칠 것임.
    
    4. PLO의 한국 태권도사범 초청 및 태권도훈련생 한국 파견 의향과 관련하여, 외무부는 1975.8.19. 한국 정부의 정책상 PLO에 대한 태권도사범 파견 및 PLO 훈련생 접수는 불가하다고 주쿠웨이트 공사에게 통보함.
mofadocu:relatedCity
mofa:relatedOrg
mofadocu:relatedArea
foaf:isPrimaryTopicOf
mofa:yearOfData
  • "1975"^^xsd:integer

본 페이지는 온톨로지 데이터를 Linked Data로 발행한 것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