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6790] 잠비아 정세 ( http://opendata.mofa.go.kr/mofadocu/resource/Document/6790 ) at Linked Data

Property Value
rdf:type
rdfs:label
  • 잠비아 정세
skos:prefLabel
  • [6790] 잠비아 정세
skos:altLabel
  • 잠비아 정세
  • 잠비아정세
mofadocu:index_Num
  • 7712
mofadocu:startYear
mofadocu:endYear
mofadocu:relatedDept
mofadocu:classfication
  • 772
mofadocu:relatedCountry
mofadocu:inLol
  • O-0041
mofadocu:inFile
  • 1
mofadocu:inFrame
  • 0001-0007
mofadocu:openYear
  • 2005
bibo:abstract
  • 재외공관의 1974년 중 잠비아 정세 동향 보고 및 언론 보도 내용임.
    
    1. 카운다 잠비아 대통령이 중국(구 중공) 방문을 위해 2.21. 베이징에 도착함.
    • ‌ 카운다 대통령은 방중 기간 중 모택동 당주석, 주은래 수상 등을 비롯한 중국 지도자들과 회담을 갖고 주로 경제협력 및 무역문제를 집중적으로 협의할 것으로 알려짐. 
    
    2. 카운다 대통령은 5.6. 말라위를 방문하여 반다 말라위 대통령과 회담함.
    • ‌ 동 대통령이 말라위를 방문한 것은 10여년 만에 처음이며 양국간의 관계는 앞으로 더욱 긴밀하게 될 것으로 전망됨.
    • ‌ 양 대통령의 회담내용은 발표되지 않았으나, 포루투갈의 정세변동에 따른 모잠비크 및 로데시아 문제가 주요 의제였을 것이라고 함. 
    • ‌ 동 대통령의 귀국 후 잠비아 외무부 대변인은 양국 각료급들이 상호 간의 문제에 관하여 계속적으로 협의키로 합의하였음을 발표함.
    
    3. 잠비아 정부가 6.14. 자국 내 휘발유 가격을 40% 인상함에 따라 승차요금 및 운송료가 2배 가까이 급등함으로써 세계시장에 수출하는 동 가격이 영향을 받게 되었다 함.
    • ‌ 잠비아는 세계의 주요 동 수출국 중 하나이며 연간 평균 61만 톤의 동을 수출해 왔음.
    • ‌ 내륙국인 잠비아는 수출하는 동의 운송을 육로에 전적으로 의존하고 있기 때문에 휘발유 가격의 인상으로 동의 현 수출가격을 유지하기는 어려울 것이라고 전문가들이 관측함.
mofa:relatedPerson
foaf:isPrimaryTopicOf
mofa:yearOfData
  • "1974"^^xsd:integer

본 페이지는 온톨로지 데이터를 Linked Data로 발행한 것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