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648] 아·아 인민단결기구(Afro-Asian Peoples Solidarity Organization) 회의 ( http://opendata.mofa.go.kr/mofadocu/resource/Document/648 ) at Linked Data

Property Value
rdf:type
rdfs:label
  • 아·아 인민단결기구(Afro-Asian Peoples Solidarity Organization) 회의
skos:prefLabel
  • [648] 아·아 인민단결기구(Afro-Asian Peoples Solidarity Organization) 회의
skos:altLabel
  • 아·아 인민단결기구(Afro-Asian Peoples Solidarity Organization) 회의
  • 아·아인민단결기구(afro-asianpeoplessolidarityorganization)회의
mofadocu:index_Num
  • 688
mofadocu:startYear
mofadocu:endYear
mofadocu:relatedDept
mofadocu:classfication
  • 722.452
mofadocu:inLol
  • C-0005
mofadocu:inFile
  • 18
mofadocu:inFrame
  • 0001-0038
mofadocu:openYear
  • 1995
bibo:abstract
  • 아ㆍ아인민단결기구(Afro-Asian People’s Solidarity Organization) 관련 회의가 1961~64년간
    다음과 같이 개최됨.
    1. 제3차 전아프리카 인민회의(All-African People’s Congress: 1961.3.26.~30. 카이로)
     34개국이 참가하여 주로 아프리카의 연합문제를 협의함.
     참가국들로부터 아프리카를 위한 유엔의 역할에 대한 불만과 반미적인 주장이 표출되었으며, 서
    구의 원조정책에 대해서도 비난함. 대회 기간 중 자유기금의 창설이 선언되었으며, 아프리카 독
    립국가들이 아직도 외국의 지배하에 있는 국가들에 대한 지원 주장이 제기됨.
     알제리 및 콩고 정부에 대한 전폭적인 지원 필요성도 거론됨.
    2. 제3차 아ㆍ아인민단결회의(Afro-Asian People’s Solidarity Conference: 1963.2.4.~11. 탕가니카 Moshi)
     65개국 아ㆍ아제국 대표 약 400명이 참석
     인도가 제의한 인도ㆍ중국(구 중공)간 국경분쟁에 관한 콜롬보회의 결의안에 대하여 중국(구 중
    공)측이 무조건 수락할 것을 요구하는 결의안이 논쟁적이라는 이유로 의제에서 삭제되어 인도
    대표가 퇴장함.
     북한대표는 시종일관 중국(구 중공) 입장을 지지하였고, 남한에서의 미군철수 결의안을 제출, 통
    과시킴.
    3. 제7차 아ㆍ아인민단결기구 집행위원회(1964.12월, 케냐 나이로비)
     알제리, 콩고, 카메룬, 이라크, 인도네시아, 소련, 중국(구 중공) 등 30개국 참가
     당초 집행위원회가 우간다의 Kampala에서 1964.10월경 개최 예정이었으나 우간다 정부의 개최
    거절로 회의 개최지를 나이로비로 변경하여 1964.12월에 개최키로 함.
     외무부는 동 집행위원회에 북한 대표단 참가시도 경우 케냐 정부가 입국을 허용치 않도록 가능
    한 한 최대한의 노력을 다할 것을 주케냐대사대리에게 1964.12.16. 훈령함.
mofadocu:relatedCity
mofadocu:relatedArea
foaf:isPrimaryTopicOf
mofa:yearOfData
  • "1961"^^xsd:integer

본 페이지는 온톨로지 데이터를 Linked Data로 발행한 것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