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63901] 미국.러시아 정상회담. Washington D.C., 1992.6.16-17 ( http://opendata.mofa.go.kr/mofadocu/resource/Document/63901 ) at Linked Data

Property Value
rdf:type
rdfs:label
  • 미국.러시아 정상회담. Washington D.C., 1992.6.16-17
skos:prefLabel
  • [63901] 미국.러시아 정상회담. Washington D.C., 1992.6.16-17
skos:altLabel
  • 미국.러시아 정상회담. Washington D.C., 1992.6.16-17
  • 미국.러시아정상회담.washingtond.c.,1992.6.16-17
mofadocu:index_Num
  • 36217
mofadocu:startYear
mofadocu:endYear
mofadocu:relatedDept
mofadocu:classfication
  • 772
mofadocu:relatedCountry
mofadocu:inLol
  • 2022-0147
mofadocu:inFile
  • 5
mofadocu:inFrame
  • 0001-0282
mofadocu:openYear
  • 2023
bibo:abstract
  • 미국·러시아 정상회담이 1992.6.16.~17. 워싱턴에서 개최됨. 
    
    1. 공동성명 요지
     • 북한 핵문제 관련
      - 북한에 IAEA(국제원자력기구) 사찰과 함께 남북한 간 상호사찰 수락 강조 
      - 남북한 간 한반도 비핵화 선언의 완전한 이행 촉구 
     • 전략 핵무기 추가 감축
      - 미·러 양국의 전략 핵탄두 수(현재 각 1만 개 정도 보유)를 2003년까지 미국은 3,500개, 러시아는 3,000개로 대폭 감축
      - 2003년까지 2단계에 걸쳐 지상 배치 다탄두 ICBM 폐기(러시아 측의 SS-18 및 SS-24, 미국 측의 MX 미사일 및 미니트맨 III 미사일 해당)
      - 대미사일 방공 협력을 위한 공동노력에 합의 
     • 대러시아 경제원조
      - 미국의 대러시아 원조계획의 조기 이행 합의 
      - IMF(국제통화기금) 등 서방 측의 대러시아 지원 조건 완화에 미국의 영향력 행사 약속 
     • 양국 동반자 관계
      - 미·러 동반 및 우호헌장 체결을 통해 민주적 가치를 바탕으로 미래를 향한 민주적 동반자 관계 다짐 
    
    2. 평가 및 특기사항
     • 미·러 양국 정상이 북한에 상호사찰 수용을 촉구한 것은 북한에 대한 효과적 압력으로 작용할 것으로 예상
     • 미·러 양국의 동반적 협력관계 수립 선언도 북한에 대한 심리적 압박으로 작용 예상 
    
    3. 참고자료 
     • 미·러 동반 및 우호 헌장(일명 ‘워싱턴 헌장’) 요지(1992.6.17., 북미1과)
     • 미·러 정상회담 결과 요지(6.19., 외무부) 
     • 미 백악관의 미·러 정상회담 결과 브리핑(.6.23., 미 대통령 특별보좌관 Dr. Hewidd)
     • 전략 핵무기 감축 합의문 
     • 한반도 핵확산 방지에 관한 공동선언(국·영문)
     • 미·러시아 간 체결 협정(경제 분야)
      - 투자보장협정, 이중과세방지협정, 무역협정, OPIC 협정, 민간 항공 MOU
mofadocu:relatedCity
mofa:relatedOrg
foaf:isPrimaryTopicOf
mofa:yearOfData
  • "1992"^^xsd:integer

본 페이지는 온톨로지 데이터를 Linked Data로 발행한 것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