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63863] 라트비아 정세, 1992 ( http://opendata.mofa.go.kr/mofadocu/resource/Document/63863 ) at Linked Data

Property Value
rdf:type
rdfs:label
  • 라트비아 정세, 1992
skos:prefLabel
  • [63863] 라트비아 정세, 1992
skos:altLabel
  • 라트비아 정세, 1992
  • 라트비아정세,1992
mofadocu:index_Num
  • 36179
mofadocu:startYear
mofadocu:endYear
mofadocu:relatedDept
mofadocu:classfication
  • 772
mofadocu:relatedCountry
mofadocu:inLol
  • 2022-0144
mofadocu:inFile
  • 13
mofadocu:inFrame
  • 0001-0198
mofadocu:openYear
  • 2023
bibo:abstract
  • 1992년 중 라트비아의 주요 정세 동향임. 
    
    1. 대만(구 중화민국)과 영사 관계 수립 
     • 1992.1.29. 장효엄 대만 외교부차장은 라트비아 외무장관과 총영사 관계 수립에 관한 공동성명에 서명 
     • 1.31. 중국 외교부는 아래 내용의 항의 성명 발표 
      - 라트비아 측의 대만에 관한 일련의 조치들은 중국·라트비아 양국 수교 공동성명서상의 약속사항을 위반하여 양국관계 및 양국 인민의 우호를 엄중히 손상시킨 것으로서 중국은 이에 강력한 항의 제기 
     • 2.25. 중국은 라트비아 주재 중국대사관의 잠정 폐쇄와 공관원 철수 단행 발표
    
    2. 발트해 10개국 외무장관회의(1992.3.5.~6,, 코펜하겐)
     • 개최 배경
      - 1991.10.22. 덴마크·독일 간 외무장관회담에서 제2차 세계대전 이후 중단된 발트해 국가간의 정무차원에서의 협력에 합의 
     • 참가국: 덴마크, 스웨덴, 노르웨이, 핀란드, 러시아, 발트 3국, 폴란드, 독일 및 EC(구주공동체) 집행위원회 
     • 주요 결의 내용
      - 발트 3국 등 신생 민주국가에 대한 지원, 경제·기술원조 및 협력 강화, 보건·환경 및 에너지 보호·문화·교육·관광·정보·교통·통신 분야 협력, 발트해 각료이사회 창설 
    
    3. EC, 발트 3국 및 알바니아와 무역·경제협력협정 체결(1992.5.11.) 
     • EC는 발트 3국(에스토니아·라트비아·리투아니아) 및 알바니아와 수입제한 철폐와 시장경제체제로의 전환 지원을 골자로 하는 무역·경제협력협정 체결 
    
    4. 발트 3국 주둔 러시아군 철수 문제 
     • 러시아는 1992.7월 헬싱키 CSCE(구주안보협력회의) 시 라트비아 등 발트 3국과 1994년 말까지 주둔군을 철수하기로 합의하였으나, 철수 시기를 둘러싼 입장차이(라트비아 측 1993년 vs 러시아 측 1994년)로 인해 합의 도출에 실패  
    
    5. 참고자료 
     • 라트비아 개황 자료, 라트비아 경제현황 등 참고자료(1992.5~6월, 주스웨덴대사관)
     • Latvia: An Economic Profile for the Foreign Investor(1991.9월, Department of Foreign Economic Relations Council of Ministers Republic of Latvia)
mofadocu:relatedCity
mofa:relatedOrg
mofa:relatedEvent
foaf:isPrimaryTopicOf
mofa:yearOfData
  • "1992"^^xsd:integer

본 페이지는 온톨로지 데이터를 Linked Data로 발행한 것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