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63787] 벨기에 정세, 1992 ( http://opendata.mofa.go.kr/mofadocu/resource/Document/63787 ) at Linked Data

Property Value
rdf:type
rdfs:label
  • 벨기에 정세, 1992
skos:prefLabel
  • [63787] 벨기에 정세, 1992
skos:altLabel
  • 벨기에 정세, 1992
  • 벨기에정세,1992
mofadocu:index_Num
  • 36101
mofadocu:startYear
mofadocu:endYear
mofadocu:relatedDept
mofadocu:classfication
  • 772
mofadocu:relatedCountry
mofadocu:inLol
  • 2022-0139
mofadocu:inFile
  • 10
mofadocu:inFrame
  • 0001-0089
mofadocu:openYear
  • 2023
bibo:abstract
  • 1992년 중 벨기에의 주요 정세 동향임.
    
    1. 벨기에·콩고민주공화국(구 자이르) 관계 개선 움직임
     • Bagbeni 콩고민주공화국 외무장관은 1992.1.13.~14. 벨기에를 방문, Eyskens 외무장관과 두 차례 회담을 갖고 양국관계 정상화 방안, 콩고민주공화국 경제 및 금융재건 방안 등을 협의함.
      - 콩고민주공화국 측은 양국관계 정상화의 조기실현을 갈망하고, 1990.6.22. 콩고민주공화국 측이 취했던 대벨기에 제재조치를 빠른 시일 내에 철회하기로 약속함.
      - 벨기에 측은 1990.5.25. 취했던 대콩고민주공화국 제재조치를 철회할 준비를 갖추되, 그 시기는 1990.5월 Lubumbashi 사태에 대한 국제적 진상 규명이 이루어진 이후가 될 것임을 분명히 함. 
    
    2. 대러시아 지원 국제회의(1992.1.22.~23.) 결과 평가(Eyskens 벨기에 외무장관)
     • 동 회의의 성공 여부에 대해 회의적이었으나, 미국 측의 완벽한 준비 및 조직, 원만한 진행으로 그룹 간 커다란 분쟁 없이 참석 국가 및 국제기구로부터 연대감의 합의를 도출해 낸 성공적인 회의였으며, 이는 곧 미국 외교의 승리임.
     • 러시아연방 개혁모델로서 옐친 대통령은 폴란드의 개혁모델을 모방하고 있으나, 폴란드에 비하여 러시아연방은 국토가 훨씬 방대하고, 국가예산 적자폭이 매우 크며, 인접에 위치한 우크라이나와 갈등상태에 있는 등 개혁 추진에 있어 어려운 여건하에 있음.
mofa:relatedPerson
foaf:isPrimaryTopicOf
mofa:yearOfData
  • "1992"^^xsd:integer

본 페이지는 온톨로지 데이터를 Linked Data로 발행한 것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