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63738] NAFTA(북미자유무역협정) 동향, 1992. 전4권 9-12월 ( http://opendata.mofa.go.kr/mofadocu/resource/Document/63738 ) at Linked Data

Property Value
rdf:type
rdfs:label
  • NAFTA(북미자유무역협정) 동향, 1992. 전4권
skos:prefLabel
  • [63738] NAFTA(북미자유무역협정) 동향, 1992. 전4권  9-12월
skos:altLabel
  • NAFTA(북미자유무역협정) 동향, 1992. 전4권
  • nafta(북미자유무역협정)동향,1992.전4권
mofadocu:index_Num
  • 36052
mofadocu:volumeNum
  • V.3
mofadocu:volumeName
  • 9-12월
mofadocu:startYear
mofadocu:endYear
mofadocu:relatedDept
mofadocu:classfication
  • 767.51
mofadocu:relatedCountry
mofadocu:inLol
  • 2022-0136
mofadocu:inFile
  • 11
mofadocu:inFrame
  • 0001-0183
mofadocu:openYear
  • 2023
bibo:abstract
  • 1992.9~12월 중 NAFTA(북미자유무역협정) 체결 추진 동향임. 
     
    1. 1992.10.7. 미국, 멕시코, 캐나다 3국 정상은 NAFTA 최종 협상안에 가서명함.
    
    2. 1992.12.17. 미국, 멕시코, 캐나다 3국 정상은 NAFTA 협정안에 정식 서명함.
     • 부시 미국 대통령은 12.17. 서명 전 연설에서 NAFTA는 미 대륙을 경제협력과 자유경쟁으로 단결된 지역으로 건설하려는 꿈의 실현을 위한 첫걸음이라고 함.
     • 12.17. 살리나스 멕시코 대통령은 서명 후 대국민 연설에서 NAFTA는 미국, 멕시코, 캐나다 3국 모두에게 번영을 가져다줄 것이며, 상호보완적인 경제가 하나로 합침으로써 여타 지역 경제권에 성공적으로 경쟁할 수 있을 것이라고 강조함. 
     • 멀로니 캐나다 수상은 서명 후 NAFTA가 무역 의존도가 높은 캐나다의 장기적인 국익에 부합되며, 1994.1.1. NAFTA의 발효를 위해 비준 절차를 마무리하겠다고 함.
    
    3. 한국 정부는 세계 경제의 지역화 추세에 대응하여 자유무역제도 강화를 위한 통상외교를 추진하고, 북미 3국과의 협력 강화, 중남미 국가와의 협력을 통한 우회 수출을 확대해 나가기로 함.
     • NAFTA 타결에 따른 투자진출 전략개발을 위해 서울에서 제1차 한·캐나다 경제공동위원회(1992.10.1.~2.), 제13차 한·미 무역위원회(1992.10.22.~24.), 제2차 한·멕시코 간 공동위원회(1992.10.29.~30.)를 개최하기로 함.
mofadocu:relatedCity
mofa:relatedPerson
mofa:relatedEvent
foaf:isPrimaryTopicOf
mofa:yearOfData
  • "1992"^^xsd:integer

본 페이지는 온톨로지 데이터를 Linked Data로 발행한 것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