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637] 재외공관 설치 - 우간다, 1963.4.26 ( http://opendata.mofa.go.kr/mofadocu/resource/Document/637 ) at Linked Data

Property Value
rdf:type
rdfs:label
  • 재외공관 설치 - 우간다, 1963.4.26
skos:prefLabel
  • [637] 재외공관 설치 - 우간다, 1963.4.26
skos:altLabel
  • 재외공관 설치 - 우간다, 1963.4.26
  • 재외공관설치-우간다,1963.4.26
mofadocu:index_Num
  • 677
mofadocu:startYear
mofadocu:endYear
mofadocu:relatedDept
mofadocu:classfication
  • 722.31
mofadocu:relatedCountry
mofadocu:inLol
  • C-0005
mofadocu:inFile
  • 7
mofadocu:inFrame
  • 0001-0007
mofadocu:openYear
  • 1995
bibo:abstract
  • 1. 우리 정부는 1962.10.9. 우간다의 독립일자로 우간다 정부를 승인하고 외교관계 수립 용의를 표명하
    였는 바, 우간다 정부는 1963.3.25. 한국과 북한에 대해 동시 외교관계 수립을 발표함
    2. 외무부는 우간다에 대한 북한 진출 저지노력에도 불구하고 북한대사관이 사실상 설치되어 우리 공관
    의 철수가 불가피하게 되는 경우 우간다 주재 공관을 개설 교섭 중인 나이로비 주재 총영사관으로 이
    전 전용할 것을 구상하고, 주영국대사관의 나이로비 총영사관 개설 교섭에 시기를 놓치지 않도록 유
    의할 것을 1963.4.23. 지시함
     외무부는 동부 아프리카의 외교거점 확보가 시급한 것을 감안하여 나이로비에 총영사관을 설치
    하고 케냐의 독립과 동시에 대사관으로 승격하는 안을 추진키로 함
    3. 영국 외무성은 우간다 정부가 북한과 외교관계 수립에 합의한 바 있으나 한국과도 외교관계를 수립
    하였으므로 한국대사관이 우간다에 설치될 것을 희망한다는 입장임을 1963.4.24. 주영국대사관에 설
    명함
mofadocu:relatedArea
mofa:yearOfData
  • "1963"^^xsd:integer

본 페이지는 온톨로지 데이터를 Linked Data로 발행한 것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