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63534] OECD(경제협력개발기구) 공적수출신용 비공식 회의, 1989-92 ( http://opendata.mofa.go.kr/mofadocu/resource/Document/63534 ) at Linked Data

Property Value
rdf:type
rdfs:label
  • OECD(경제협력개발기구) 공적수출신용 비공식 회의, 1989-92
skos:prefLabel
  • [63534] OECD(경제협력개발기구) 공적수출신용 비공식 회의, 1989-92
skos:altLabel
  • OECD(경제협력개발기구) 공적수출신용 비공식 회의, 1989-92
  • oecd(경제협력개발기구)공적수출신용비공식회의,1989-92
mofadocu:index_Num
  • 35847
mofadocu:startYear
mofadocu:endYear
mofadocu:relatedDept
mofadocu:classfication
  • 764.467
mofadocu:relatedCountry
mofadocu:inLol
  • 2022-0121
mofadocu:inFile
  • 2
mofadocu:inFrame
  • 0001-0115
mofadocu:openYear
  • 2023
bibo:abstract
  • 1989~92년 중 개최된 OECD(경제협력개발기구) 공적수출신용 비공식 회의 관련 내용임.
    
    1. OECD 수출신용 비공식협의(1989.11.13.)
     • 참가국: OECD 22개국(튀르키예, 아이슬란드 제외)
      - 전종배 수은 심사1부장 참석(개인자격)
     • 주요 의제: 각국의 수출신용 현황 및 전망, OECD 협약 변경 문제
    
    2. OECD 수출신용 비공식회의(1990.12.14.)
     • 참가국: 공적수출신용협정 22개 당사국과 한국 등 4개 ANICs(아시아신흥공업국) 국가
      - 한국은 주프랑스대사관 관계관 참석(개인자격)
     • 회의 결과
      - OECD 측은 OECD가 작성한 회원국들의 수출신용제도 운용 현황을 설명하였고, 각국은 각국의 수출신용제도 운영 현황 및 경험에 대해 발표함.
      - 금번 비공식회의는 1990.12.13.~14. 개최된 공적수출신용협정 당사국 간 회의 의제 중 하나로 개최되었으며, 협정 강화 문제는 참가국 간의 의견대립으로 별진전 없었음.  
    
    3. OECD 공적수출신용지침협정 개정안 발효
     • 발표 일자: 1992.2.15.
     • 발효 결과: 한국 등 17개 중진국이 OECD 회원국이 제공하는 조건부 원조(tied aid)를 더 이상 받을 수 없게 되었음.
mofa:relatedOrg
mofa:yearOfData
  • "1989"^^xsd:integer

본 페이지는 온톨로지 데이터를 Linked Data로 발행한 것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