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63392] 한.러시아 간 구소련 경제협력 차관 승계 문제 협의, 1991-92. 전3권 1992.5-6월 ( http://opendata.mofa.go.kr/mofadocu/resource/Document/63392 ) at Linked Data

Property Value
rdf:type
rdfs:label
  • 한.러시아 간 구소련 경제협력 차관 승계 문제 협의, 1991-92. 전3권
skos:prefLabel
  • [63392] 한.러시아 간 구소련 경제협력 차관 승계 문제 협의, 1991-92. 전3권  1992.5-6월
skos:altLabel
  • 한.러시아 간 구소련 경제협력 차관 승계 문제 협의, 1991-92. 전3권
  • 한.러시아간구소련경제협력차관승계문제협의,1991-92.전3권
mofadocu:index_Num
  • 35680
mofadocu:volumeNum
  • V.2
mofadocu:volumeName
  • 1992.5-6월
mofadocu:startYear
mofadocu:endYear
mofadocu:relatedDept
mofadocu:classfication
  • 761.6
mofadocu:relatedCountry
mofadocu:inLol
  • 2022-0111
mofadocu:inFile
  • 13
mofadocu:inFrame
  • 0001-0193
mofadocu:openYear
  • 2023
bibo:abstract
  • 1992.5~6월 중 한·러시아 간 구소련 경제협력 차관 승계 문제 협의 관련 내용임.
    
    1. 외무부장관, 쇼힌 러시아 부총리 면담(1992.5.6.)
     • 이상옥 장관, 경제부처, 은행 등은 러시아가 구소련의 법적 계승국으로 1991년도에 이미 집행된 10억 달러의 은행 차관에 대해 문서에 의한 전액 지불보증을 하여야만 잔여 차관에 대한 집행 재개가 가능하다는 입장을 언급
     • 러시아 부총리, 10억 달러의 은행 차관에 대해서 CIS(독립국가연합) 국가 중 러시아연방 외에 상환 능력이 있는 국가가 없는 것을 감안할 때 사실상 러시아가 99% 상환을 하게 될 것이지만 이를 러시아가 법적문서로 보증하는 데는 문제가 있다고 언급
    
    2. 대러시아연방 경협 관련 관계부처 회의(1992.6.23.)
     • 러시아연방이 구체적 이자상환계획을 제시하는 경우 경협 재개에 대해 다시 논의하기로 하되, 잠정적으로 아래 방침을 결정
      - 어느 정도 수용 가능한 이자상환계획을 제시하는 경우 일단 1991 소비재 차관 잔여분은 재개하고 1992년분은 협의만 시작하되 국내외 여건을 감안하여 신중히 집행
      - 수용 가능한 이자상환계획의 기준: 소비재 차관 이자의 적기 납입, 은행 차관 이자는 최소한 러시아연방의 외채 분담비율 61.34%를 납부하고 잔여분도 2차 기일 이전에 상환
       
    3. 한·러시아 경협차관 실무회의(1992.5.18.~24., 모스크바)
     • 수석대표
      - 한국 측: 이균환 재무부 제2차관보
      - 러시아 측: Shilim 대외경제성 차관
     • 회의 결과
      - 한국 측은 보증채무의 승계 및 이자 지급 문제 등에 대한 러시아연방 측의 분명한 입장 표명을 촉구하였으며, 양측은 합의의사록 작성 및 서명
mofadocu:relatedCity
mofa:relatedPerson
mofa:relatedOrg
mofa:yearOfData
  • "1991"^^xsd:integer

본 페이지는 온톨로지 데이터를 Linked Data로 발행한 것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