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63248] 동해 명칭의 국제적 통용 추진, 1992 ( http://opendata.mofa.go.kr/mofadocu/resource/Document/63248 ) at Linked Data

Property Value
rdf:type
rdfs:label
  • 동해 명칭의 국제적 통용 추진, 1992
skos:prefLabel
  • [63248] 동해 명칭의 국제적 통용 추진, 1992
skos:altLabel
  • 동해 명칭의 국제적 통용 추진, 1992
  • 동해명칭의국제적통용추진,1992
mofadocu:index_Num
  • 35535
mofadocu:startYear
mofadocu:endYear
mofadocu:relatedDept
mofadocu:classfication
  • 755.32
mofadocu:relatedCountry
mofadocu:inLol
  • 2022-0102
mofadocu:inFile
  • 14
mofadocu:inFrame
  • 0001-0141
mofadocu:openYear
  • 2023
bibo:abstract
  • 1992년 중 동해의 영문명칭(East Sea 또는 Sea of Korea)을 국제적으로 통용시키기 위한 노력 관련 내용임.
    
    1. 동해명칭 관련 자료(고지도 등) 수집
     • 주영국대사관, 1992.9.1. ‘SEA of KOREA’ 표기 The Enpire of China and Island of Japan(1720) 지도 복사본 송부
     • 해군사관학교 박물관 소장, 9.7. 동해를 한국해로 표기한 1777년에 제작된 고지도(한국해 표기)를 수집하여 소장, 전시하고 있음을 통보
     • 주독일대사, 1992.9.10.~13. 쾰른시에서 개최된 제4회 국제 고서적박람회에 출품된 고서적 및 고지도 확인 보고
     • 주이탈리아대사, 9.23. 이탈리아 국립도서관에 소장된 Antinio Zatta의 지도책 중 제9권(아시아편)에 2매, 제12권(세계편)에 1매에 동해를 ‘MARE DI COREA’로 표기되어 있음을 보고
     • 주로스앤젤레스총영사, 9.24. 1835년도 뉴욕 남부 지방법원 제작 아시아판 지도에 한국해(Sea of Korea) 표기 사실을 보고
    
    2. 동해의 통용 추진 및 홍보
     • 한국은 1992.9.6. 폐회한 제6차 유엔지명 표준화회의에서 구체적인 역사적 사례(Sea of Korea 등)를 제시하고 동해가 Sea of Japan만으로 표기되는 것은 부적절하며 East Sea가 국제적으로 함께 통용되어야 한다는 입장을 표명
     • 주코스타리카대사관, 주호주대사, 주아일랜드대사, 주스위스대사, 주자메이카대사, 주피지대사 등 홍보방안 보고
mofadocu:relatedCity
mofa:relatedOrg
foaf:isPrimaryTopicOf
mofa:yearOfData
  • "1992"^^xsd:integer

본 페이지는 온톨로지 데이터를 Linked Data로 발행한 것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