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63169] 방글라데시.미얀마 국경분쟁, 1991-92 ( http://opendata.mofa.go.kr/mofadocu/resource/Document/63169 ) at Linked Data

Property Value
rdf:type
rdfs:label
  • 방글라데시.미얀마 국경분쟁, 1991-92
skos:prefLabel
  • [63169] 방글라데시.미얀마 국경분쟁, 1991-92
skos:altLabel
  • 방글라데시.미얀마 국경분쟁, 1991-92
  • 방글라데시.미얀마국경분쟁,1991-92
mofadocu:index_Num
  • 35449
mofadocu:startYear
mofadocu:endYear
mofadocu:relatedDept
mofadocu:classfication
  • 743.12
mofadocu:relatedCountry
mofadocu:inLol
  • 2022-0097
mofadocu:inFile
  • 4
mofadocu:inFrame
  • 0001-0291
mofadocu:openYear
  • 2023
bibo:abstract
  • 1991~92년 중 방글라데시·미얀마 국경 분쟁 및 로힝야족 난민 문제 관련 내용임.
    
    1. 방글라데시·미얀마 국경 충돌
     • 1991.12.21. 미얀마 국경수비대, 월경 후 방글라데시 국경수비대 막사 습격
      - 사망 1명, 부상 6명
     • 12.23. 방글라데시 외무장관, 재도발 시 즉각 응징조치 경고
      - 방글라데시 외무부, 주방글라데시 미얀마대사에게 강력 항의 및 배상 요구
     • 12.24. 미얀마, 국경 폐쇄 후 접경지 병력 증강 및 전진 배치
      - 방글라데시, 전군에 비상계엄 하달
     • 두 차례 Flag Meeting 개최(1991.12.31., 1992.1.7.)
      - 분쟁 재발 방지 합의 및 병력 후퇴 배치
    
    2. 로힝야족 난민 문제 관련 조치
     • 미얀마 거주 로힝야족(약 170만 명, 벵골계 회교도)은 방글라데시·미얀마 국경 충돌(1991.12월) 후 미얀마의 탄압으로 방글라데시로 대거 피난(1992.3월 현재 약 15만 명) 
     • 1992.3.26. 외무부 아주국장은 U Tin Winn 주한 미얀마대사를 초치, 로힝야 난민 문제에 관한 미얀마 측 입장 설명을 들은 후, 한국 정부의 동 사태에 대한 관심과 우려를 전달하고 방글라데시와 미얀마 간 대화를 통한 평화적 해결을 촉구함.
      - 주한 미얀마대사는 동 난민사태는 양국 간의 밀입국자 문제로서, 방글라데시 측이 일방적으로 국제문제화시켰다고 설명함.
     • 외무부는 로힝야 난민구호 지원을 위해 UNHCR(유엔난민기구)에 5만 달러를 기탁함.
      
    3. 방글라데시·미얀마 간 로힝야 난민송환협정 및 시행각서 서명
     • 1992.4.28. 우옹조 미얀마 외무장관은 방글라데시를 방문, 방글라데시·미얀마 간 로힝야 난민 송환협정 및 시행각서에 서명하고 아래 원칙에 합의함.
      - 미얀마 측은 동 난민 중 미얀마인으로서의 신분 확인이 가능한 자들의 귀환을 접수할 것이며, 동 송환은 5.15. 이전 개시, 6개월 이내에 완료하도록 노력함.
      - 양측은 난민 송환에 대한 UNHCR의 역할을 존중함.
mofa:relatedOrg
foaf:isPrimaryTopicOf
mofa:yearOfData
  • "1991"^^xsd:integer

본 페이지는 온톨로지 데이터를 Linked Data로 발행한 것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