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6276] 핵 연료 비확산문제 ( http://opendata.mofa.go.kr/mofadocu/resource/Document/6276 ) at Linked Data

Property Value
rdf:type
rdfs:label
  • 핵 연료 비확산문제
skos:prefLabel
  • [6276] 핵 연료 비확산문제
skos:altLabel
  • 핵 연료 비확산문제
  • 핵연료비확산문제
mofadocu:index_Num
  • 7184
mofadocu:startYear
mofadocu:endYear
mofadocu:relatedDept
mofadocu:classfication
  • 729.72
mofadocu:relatedCountry
mofadocu:inLol
  • G-0039
mofadocu:inFile
  • 10
mofadocu:inFrame
  • 0001-0018
mofadocu:openYear
  • 2005
bibo:abstract
  • 핵 비확산 문제에 관한 미국 언론 보도 내용임.
    
    1. 1974.7.5. New York Times는 “Nuclear Club could add 24 nations in 10 years" 제하 기사 게재함.
    • ‌ 기술적, 정치적 장해가 더해지지 않는 한, 앞으로 10년 후에는 핵기술의 보급으로 24개국이 원자탄 보유 가능
    • ‌ 1982년에는 세계 원자력발전소에서 연간 10만 Kg의 플루토늄 생산이 예상되며 수만 개 의 핵폭탄 제조가 가능
    • ‌ 미국 Arms Control and Disarmament Agency에 의하면 가까운 장래에 핵무기 보유 가능국가는 일본, 서독, 아르헨티나, 브라질, 파키스탄, 한국이라 함.
    
    2. 1974.7.8. Washington Post는 “The Proliferation of Plutonium" 제하 기사 게재함.
    • ‌ NPT에 서명이나 비준을 하지 않은 국가 중 핵보유 가능성이 있는 국가는 서독, 일본, 스웨덴, 이태리, 스위스, 아르헨티나, 한국 등임.
    
    3. 1974.7.8. Christian Science Monitor는 "The nuclear peace" 제하 기사 게재함.
    • ‌ 국제사회의 안전은 2개 초강대국 간의 핵전쟁 위험, 핵기술의 확산, 원자력 공장의 건설로 인한 환경 공해 위협 등에 달려있음.
foaf:isPrimaryTopicOf
mofa:yearOfData
  • "1974"^^xsd:integer

본 페이지는 온톨로지 데이터를 Linked Data로 발행한 것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