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62749] 한국의 PKO(유엔평화유지활동) 참여 문제, 1991-92. 전2권 1992.7.14-12월 ( http://opendata.mofa.go.kr/mofadocu/resource/Document/62749 ) at Linked Data

Property Value
rdf:type
rdfs:label
  • 한국의 PKO(유엔평화유지활동) 참여 문제, 1991-92. 전2권
skos:prefLabel
  • [62749] 한국의 PKO(유엔평화유지활동) 참여 문제, 1991-92. 전2권  1992.7.14-12월
skos:altLabel
  • 한국의 PKO(유엔평화유지활동) 참여 문제, 1991-92. 전2권
  • 한국의pko(유엔평화유지활동)참여문제,1991-92.전2권
mofadocu:index_Num
  • 35004
mofadocu:volumeNum
  • V.2
mofadocu:volumeName
  • 1992.7.14-12월
mofadocu:startYear
mofadocu:endYear
mofadocu:relatedDept
mofadocu:classfication
  • 731.38
mofadocu:relatedCountry
mofadocu:inLol
  • 2022-0065
mofadocu:inFile
  • 6
mofadocu:inFrame
  • 0001-0189
mofadocu:openYear
  • 2023
bibo:abstract
  • 1992.7.14.~12월 중 한국의 PKO(유엔평화유지활동) 참여 문제 관련 내용임. 
    
    1. PKO 참여 문제 관계부처 장관회의(1992.7.15.)
     • 참가자
      - 외무부장관, 국방부장관, 대통령 비서실장, 안기부 1차장 및 대통령 외교안보수석 
     • 회의 결과
      - PKO 파견 원칙에 대한 의견 일치 
      - 군 옵서버, 군 의료단 등 군 병력 파견이 결정되었으나, 보병 파견 여부는 향후 당·정 협의, 여론 수렴을 거쳐 결정
      - PKO 설문지는 유엔총회 개막 시까지 제출 예정 
    
    2. PKO 설문지 회신 대통령 재가(1992.9.9.)
     • 1991.10월 유엔으로부터 접수한 PKO 관련 설문지에 대해 그동안 외무부, 국방부, 안기부 등 관계 부처 및 민자당과 협의한 결과에 따라, 보병 540명(1개 대대), 군 옵서버 36명, 군 의료단 154명 등 총 730명이 참여 가능한 것으로 유엔에 회신하기 위해 대통령 재가 획득 
    
    3. PKO 설문서 회신 유엔사무국 제출(1992.9.18.)
     • 한국 정부의 PKO 설문지 회신을 유엔사무국에 제출 
     
    4. 참고자료 
     • 유엔 PKO 성공 사례와 희생 사례, 냉전 종식과 유엔 PKO(1992.7월, 외무부 )
     • 유엔평화유지활동(PKO) 관련 예상 질의·답변 자료(1992.8월, 국제기구국)
     • 유엔평화유지활동(PKO) 관련 설문서 회신 문제(1992.9.2., 외무부)
mofa:relatedOrg
foaf:isPrimaryTopicOf
mofa:yearOfData
  • "1991"^^xsd:integer

본 페이지는 온톨로지 데이터를 Linked Data로 발행한 것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