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62619] NATO(북대서양조약기구), 1992 ( http://opendata.mofa.go.kr/mofadocu/resource/Document/62619 ) at Linked Data

Property Value
rdf:type
rdfs:label
  • NATO(북대서양조약기구), 1992
skos:prefLabel
  • [62619] NATO(북대서양조약기구), 1992
skos:altLabel
  • NATO(북대서양조약기구), 1992
  • nato(북대서양조약기구),1992
mofadocu:index_Num
  • 34853
mofadocu:startYear
mofadocu:endYear
mofadocu:relatedDept
mofadocu:classfication
  • 729.31
mofadocu:inLol
  • 2022-0055
mofadocu:inFile
  • 1
mofadocu:inFrame
  • 0001-0145
mofadocu:openYear
  • 2023
bibo:abstract
  • 1. NATO(북대서양조약기구) 국방장관회의(1992.5.25.~27., 브뤼셀)
     • NATO 신전략 지침 논의 
      - 새로운 NATO 전략 지침에 합의 
      - 역외 우발적 핵 위협에 대한 선별적 핵 사용으로 핵무기의 정치적 통제 강화
      - NATO 평화유지활동 확대: 신속 대응군 강화 및 평화유지군으로서 역외 파견방안 승인 
    
    2. NATO 외무장관회의(1992.6.4.~5., 오슬로)
     • NATO 16개국 외무장관들은 1992.6.4. 공동성명을 채택, 향후 NATO가 CSCE(구주안보협력회의) 테두리 내에서 유럽에서의 평화유지 임무를 수행하는 데 합의 
     • 6.5. NATO 16개국과 CIS(독립국가연합) 및 동유럽 21개국 외무장관 간 CFE(유럽재래식무기감축)에 관한 추가의정서 서명 
      - 대서양과 우랄산맥 간 전 유럽지역에서의 재래식무기의 대폭 감축 규정 
    
    3. NATO 핵 기획단 회의(1992.10.20.~21., 스코틀랜드)
     • NATO 핵 기획단(Nuclear Planning Group) 회의 최종 성명서
    
    4. NATO 이사회(1992.12.17., 브뤼셀)
     • NATO 16개국 외무장관이 참석, 유고 사태를 위시한 NATO의 평화유지 임무, NATO와 CSCE, WEU(서유럽연합) 등 지역 안보기구와의 관계, 환대서양 안보협력의 중요성 및 군비통제 문제 등을 협의하고 24개항의 Final Communique와 10개항의 유고 사태에 관한 Statement 발표
     
    5. NATO 관련 자료 
     • The New Security Context
     • The Future of the Armed Forces in the Former Soviet Union
     • Alliance Security 
     • A European Security Identity after Rome and Maastricht
mofadocu:relatedCity
mofa:relatedOrg
mofa:yearOfData
  • "1992"^^xsd:integer

본 페이지는 온톨로지 데이터를 Linked Data로 발행한 것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