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62574] IAEA(국제원자력기구)의 대북한 핵시설 사찰, 1992. 전6권 Blix 사무총장 북한 방문, 5.11-16 : 기본문서 ( http://opendata.mofa.go.kr/mofadocu/resource/Document/62574 ) at Linked Data

Property Value
rdf:type
rdfs:label
  • IAEA(국제원자력기구)의 대북한 핵시설 사찰, 1992. 전6권
skos:prefLabel
  • [62574] IAEA(국제원자력기구)의 대북한 핵시설 사찰, 1992. 전6권  Blix 사무총장 북한 방문, 5.11-16 : 기본문서
skos:altLabel
  • IAEA(국제원자력기구)의 대북한 핵시설 사찰, 1992. 전6권
  • iaea(국제원자력기구)의대북한핵시설사찰,1992.전6권
mofadocu:index_Num
  • 34798
mofadocu:volumeNum
  • V.3
mofadocu:volumeName
  • Blix 사무총장 북한 방문, 5.11-16 : 기본문서
mofadocu:startYear
mofadocu:endYear
mofadocu:relatedDept
mofadocu:classfication
  • 726.63
mofadocu:relatedCountry
mofadocu:inLol
  • 2022-0051
mofadocu:inFile
  • 12
mofadocu:inFrame
  • 0001-0166
mofadocu:openYear
  • 2023
bibo:abstract
  • 블릭스 IAEA(국제원자력기구) 사무총장이 핵시설 사찰을 위해 1992.5.11.~16. 북한을 방문함. 
    
    1. 블릭스 사무총장 방북결과 기자회견 요지
     • 최초 보고서상의 주요 시설을 모두 시찰함.
      - 자력으로 개발한 구식모델의 원자로 포함
      - 연형묵 총리 등 북한 정부인사를 면담한바 당초 예정된 김일성·김정일 예방은 실현되지 않음.
     • 방사능 화학연구소는 완공되면 핵 재처리 시설임.
      - 길이가 180m나 되는 큰 건물로서 건물은 80% 정도 완성되고 내부 장비는 40% 정도 갖추어져 있으나, 현재 작업은 중단된 상태이며 부품은 국내 조달 중임.
      - 내부 시설을 다른 장소로 옮겼다는 확증은 없음.
     • 상기 연구소에서 1990년 극소량의 플루토늄이 추출되었으나, 폭탄 제조용으로는 너무 부족한 양임.
     • 북한이 핵무기를 개발하고 있다는 명확한 증거가 없으며, 핵무기 개발까지 장비 면에서 부족하며 몇 단계를 거쳐야 함.
     • 보다 정확한 내용은 수 주 내에 있을 IAEA 임시사찰에서 밝혀질 예정임.
    
    2. 사무총장 발언 분석 및 평가
     • 방사능 화학연구소가 그간 의혹의 초점이었던 핵 재처리 시설과 동일한 것으로 판명됨.
     • 그간 추출한 플루토늄은 상기 연구소에서 추출한 것이며, 여타 추출시설은 없는 것으로 보임.
     • 북한의 핵무기 개발 의혹은 수 주 내로 있을 IAEA 임시사찰을 통해 보다 분명해질 것인바, 임시사찰 결과 별다른 의혹이 없을 경우 6월 이사회에서 대북한 조치사항은 없을 것임.
     • 앞으로 문제는 북한이 시사하고 있는 바와 같이 방사능 화학연구소 완공을 계속 추진할 것인지 여부임
mofa:relatedPerson
mofa:relatedOrg
foaf:isPrimaryTopicOf
mofa:yearOfData
  • "1992"^^xsd:integer

본 페이지는 온톨로지 데이터를 Linked Data로 발행한 것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