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62562] 북한.IAEA(국제원자력기구) 간의 핵안전조치협정 체결, 1991-92. 전15권 유엔을 통한 체결 촉구, 1991.10월 ( http://opendata.mofa.go.kr/mofadocu/resource/Document/62562 ) at Linked Data

Property Value
rdf:type
rdfs:label
  • 북한.IAEA(국제원자력기구) 간의 핵안전조치협정 체결, 1991-92. 전15권
skos:prefLabel
  • [62562] 북한.IAEA(국제원자력기구) 간의 핵안전조치협정 체결, 1991-92. 전15권  유엔을 통한 체결 촉구, 1991.10월
skos:altLabel
  • 북한.IAEA(국제원자력기구) 간의 핵안전조치협정 체결, 1991-92. 전15권
  • 북한.iaea(국제원자력기구)간의핵안전조치협정체결,1991-92.전15권
mofadocu:index_Num
  • 34770
mofadocu:volumeNum
  • V.7
mofadocu:volumeName
  • 유엔을 통한 체결 촉구, 1991.10월
mofadocu:startYear
mofadocu:endYear
mofadocu:relatedDept
mofadocu:classfication
  • 726.62
mofadocu:relatedCountry
mofadocu:inLol
  • 2022-0049
mofadocu:inFile
  • 8
mofadocu:inFrame
  • 0001-0144
mofadocu:openYear
  • 2023
bibo:abstract
  • 1991.10.21.~22. 개최된 유엔총회 본회의에서 북한·IAEA 간 핵안전협정 체결을 촉구함. 
    
    1. 핵안전협정 서명 및 이행 촉구
     • 유엔총회 본회의에서 네덜란드, 오스트리아, 폴란드, 미국, 호주, 일본, 뉴질랜드, 루마니아, 체코(구 체코슬로바키아), 한국 등 10개국은 북한을 거명하며 북한·IAEA 간 핵안전협정의 조기 서명, 비준 및 이행을 촉구함.
    
    2. 한국 대표(주유엔대사) 발언 요지
     • 북한은 안전조치를 받고 있지 않는 핵시설을 상당 기간 가동 중으로 IAEA 이사회는 북한의 핵안전협정 체결 장기 지연을 심각히 우려하고 있음.
     • 북한이 유엔회원국으로서 헌장상 의무를 수락하겠다고 서약한 이상, 더 이상 지체 없이 국제적 의무를 이행해야 함.
    
    3. 북한 대표 답변권 행사 내용
     • IAEA 이사회는 호주, 일본 등을 주축으로 일방적 결의를 채택, 북한의 권위를 손상하고 압력을 가함.
     • 북한은 주권침해를 용납할 수 없으며, 이러한 상황에서 안전협정에 서명할 수 없음.
     • 남한 내 핵무기 철수로 인한 핵위협 제거가 핵안전협정의 선결 요건이며 남한 내 핵무기 조속 철수를 희망함.
mofa:relatedOrg
foaf:isPrimaryTopicOf
mofa:yearOfData
  • "1991"^^xsd:integer

본 페이지는 온톨로지 데이터를 Linked Data로 발행한 것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