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62542] 북한의 무기 밀매 동향 및 대외군사협력, 1992 ( http://opendata.mofa.go.kr/mofadocu/resource/Document/62542 ) at Linked Data

Property Value
rdf:type
rdfs:label
  • 북한의 무기 밀매 동향 및 대외군사협력, 1992
skos:prefLabel
  • [62542] 북한의 무기 밀매 동향 및 대외군사협력, 1992
skos:altLabel
  • 북한의 무기 밀매 동향 및 대외군사협력, 1992
  • 북한의무기밀매동향및대외군사협력,1992
mofadocu:index_Num
  • 34749
mofadocu:startYear
mofadocu:endYear
mofadocu:relatedDept
mofadocu:classfication
  • 726.61
mofadocu:relatedCountry
mofadocu:inLol
  • 2022-0048
mofadocu:inFile
  • 2
mofadocu:inFrame
  • 0001-0210
mofadocu:openYear
  • 2023
bibo:abstract
  • 1. 스커드미사일 적재 북한 화물선 문제
     • 1992.3.6. 미국 NYT지 보도에 따르면 미국이 시리아로 수출되는 미사일 부품을 선적한 것으로 의심되는 북한선박 2척에 대한 승선 임검을 고려 중이라고 보도함. 
      - Kartman 미 국무부 한국과장은 북한선박에 대한 임검이 실시된다면, 이는 중동에 대한 무기확산 금지 차원에서 이루어지는 것이며, 북한 핵문제와는 무관한 조치임을 이해해야 한다고 언급함.
     • 주이란대사관은 당지 테헤란타임즈가 스커드 C미사일을 선적한 것으로 추정되는 북한선박 대흥호가 주재국 반다라바스항에 3.10. 도착했다는 미 국방부 관리의 말을 로이터통신을 인용, 보도했다고 하면서 주재국 측 언론보도 및 외교단 반응을 보고함.
      - 영자지 KAYHAN은 북한이 이란과 시리아에 무기를 판매하고 있다는 것이 비밀은 아니나, 미국과 러시아를 포함한 안보리 5개 상임이사국들이 모두 무기를 수출하고 있음에 비추어 북한만 비난 대상이 될 수는 없다고 주장
     • 국무부 한국과 북한담당관은 11.4. 주미국대사관 서기관과 면담 시 북한의 3개 회사가 공동으로 110대의 우크라이나 트럭(스커드미사일 이동발사기 장착 가능) 및 중장비(스커드미사일 발사에 활용 가능)를 이란에 수출하고자 추진 중에 있다고 설명함.
    
    2. 대외 군사협력
     • 주파키스탄대사관은 1992.8.16. 최근 입수한 정보에 따르면 주재국 군사대표단 4명이 8.21.부터 2주간 북한을 방문하여 북한의 미사일 생산공장 등 군사시설을 시찰하고 북한으로부터 미사일 기술 및 기술도입 문제 등을 협의할 예정이라고 보고함. 
     • 외무부는 8.19. 관계부처에 의하면 북한은 1988년 스커드미사일 시험에 착수하여 1990년에 성공하였으며, 동 미사일은 핵탄두 장착이 가능(사정거리 1천 km)하고 이미 이란, 시리아에 판매단계에 있다고 주파키스탄대사관에 통지함. 
     • 9.9. 미 국무부 한국과 북한담당관은 주미국대사관 서기관에게 북한이 최근 러시아에 대해 1천 MW 경수로식 핵발전소 4기를 2000년부터 북한에서 건설하는 데 협력해 줄 것을 제의하여 왔음을 언급하였음.
mofadocu:relatedCity
mofa:relatedOrg
foaf:isPrimaryTopicOf
mofa:yearOfData
  • "1992"^^xsd:integer

본 페이지는 온톨로지 데이터를 Linked Data로 발행한 것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