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62054] 한.미국 정무일반, 1992 ( http://opendata.mofa.go.kr/mofadocu/resource/Document/62054 ) at Linked Data

Property Value
rdf:type
rdfs:label
  • 한.미국 정무일반, 1992
skos:prefLabel
  • [62054] 한.미국 정무일반, 1992
skos:altLabel
  • 한.미국 정무일반, 1992
  • 한.미국정무일반,1992
mofadocu:index_Num
  • 34170
mofadocu:startYear
mofadocu:endYear
mofadocu:relatedDept
mofadocu:classfication
  • 722.1
mofadocu:relatedCountry
mofadocu:inLol
  • 2022-0010
mofadocu:inFile
  • 10
mofadocu:inFrame
  • 0001-0296
mofadocu:openYear
  • 2023
bibo:abstract
  • 1992년 중 한·미 간의 주요 관계 동향임.
    
    1. 미국 의회 내 남북한 이산가족 재회 촉진 Task Force 결성(1992.2.4.) 
     • 미 민주당 소속 하원의원 2명의 주도로 미국 거주 한인사회 이산가족 재회 지원 특별반 결성
    
    2. 미국 백악관 NSC(국가안전보장회의) 보좌관 방한, 미주국장 면담(1992.5.20.) 
     • 퀘일 미 부통령 일본 방문 결과 설명 
    
    3. 미국 헤리티지재단 주최 북한 인권 문제 세미나(1992.5.20.) 
     • ‘조지 오웰의 악몽: 북한의 인권’ 제하 북한 인권 상황에 관한 세미나 개최 
    
    4. 로버트 슈터 미국 CRS(의회조사국) 연구원, 한·미 관계 현황 의회 보고자료 제출(1992.6.9.)
     • 북한 핵문제 등 한·미 관계 현황을 조명하고 미국의 대한국 정책 방안 제시 
    
    5. 미국 국무부 한국과장, 제6공화국 치적 평가(1992.9.15.)
     • 제6공화국 정부는 6·29 선언 이후 민주화의 위대한 성공을 이룩함.
     • 한국은 한·러시아 수교에 이어 한·중국 수교를 통해 북방정책을 완결함. 
    
    6. 미국 하원 의원단 방한(1992.11.24.~30.)
     • 방한단: Pat Schroeder 하원 군사위원회 군사시설소위 위원장 등 7명 
     • 주요 일정: 주한미군 시찰 등 군사·안보관계 시설 방문 
     
    7. 김영삼 대통령 당선자 및 클린턴 미 대통령 당선자 간 축전 교환
     • 클린턴 대통령 당선자, 김영삼 대통령 당선자에 대한 축전 송부(1992.12.21.)
     • 김영삼 대통령 당선자, 클린턴 대통령 당선자 축전에 대한 답전 송부(12.23.)
mofa:relatedPerson
mofa:relatedOrg
foaf:isPrimaryTopicOf
mofa:yearOfData
  • "1992"^^xsd:integer

본 페이지는 온톨로지 데이터를 Linked Data로 발행한 것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