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61482] 니제르 정세, 1990-91 ( http://opendata.mofa.go.kr/mofadocu/resource/Document/61482 ) at Linked Data

Property Value
rdf:type
rdfs:label
  • 니제르 정세, 1990-91
skos:prefLabel
  • [61482] 니제르 정세, 1990-91
skos:altLabel
  • 니제르 정세, 1990-91
  • 니제르정세,1990-91
mofadocu:index_Num
  • 33791
mofadocu:startYear
mofadocu:endYear
mofadocu:relatedDept
mofadocu:classfication
  • 772
mofadocu:relatedCountry
mofadocu:inLol
  • 2021-0152
mofadocu:inFile
  • 5
mofadocu:inFrame
  • 0001-0052
mofadocu:openYear
  • 2022
bibo:abstract
  • 1990~91년 중 니제르의 주요 정세 동향임.
    
    1. 민정이양을 위한 대통령 및 국회의원 선거 실시(1989.12.10.)
     • 단일 입후보한 세이부 현 국가원수가 99.7%의 지지로 대통령에 당선, 12.18. 제2공화국 출범식이 거행됨.
     • 니제르 군사정부의 민정이양 문제
      - 1974.4월 군사 쿠데타로 집권한 쿤체 육군 중령은 헌법 폐지, 정당 및 의회 해산 등 모든 헌정을 중단하고 최고권력기구인 CMS(최고군사위원회)를 신설, 자신이 동 기구의 의장에 취임하면서부터 민정이양 문제가 대두되기 시작 
      - 1982.5월 및 1983.5월 학생 소요사태가 발생하면서 국민의 민정이양 요구 시위가 확대되자 정부 주도로 제한적인 입법기관 성격의 CND(국가발전평의회)를 구성, 민정헌법의 골격이 되는 국민헌장을 채택하는 등 민정이양을 위한 점진적인 정지작업이 진행됨.
      - 1987.11월 쿤체 의장의 사망으로 국가원수직을 승계한 세이부 의장(육군 대령)은 자신의 취약한 집권기반을 강화하고 통치자로서 온건한 이미지 부각을 위해 국민의 불만을 수렴하는 방향으로 민정이양계획을 적극 추진
      - 1988.11월 취임 1주년 기자회견 시 1989.9월까지 민정헌법 제정, 동 헌법에 의거 1989년 말까지 대통령 및 국회의원 선거실시를 골자로 하는 민정이양에 관한 구체적 일정을 제시함.
     • 평가 및 전망
      - 금번 니제르 선거 실시는 지난 15년간 중단된 헌정질서를 회복하고 국민의 참정권을 회복시켰다는 점에서 장기 군정에 대한 국민의 불만해소와 국민화합을 도모한 것으로 평가
      - 국제적으로도 동서화해 분위기에 편승한 민주화 추세에 부응, 국가의 국제적 이미지를 개선하고 나이지리아, 가나 등 아프리카 역내 군사정권의 민정이양 추진에도 영향을 미칠 것으로 전망
    
    2. 선거 후 개각 및 복수정당제 추진 동향 등 내용 수록
mofa:relatedOrg
mofadocu:relatedArea
foaf:isPrimaryTopicOf
mofa:yearOfData
  • "1990"^^xsd:integer

본 페이지는 온톨로지 데이터를 Linked Data로 발행한 것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