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61469] 카자흐스탄 정세, 1991 ( http://opendata.mofa.go.kr/mofadocu/resource/Document/61469 ) at Linked Data

Property Value
rdf:type
rdfs:label
  • 카자흐스탄 정세, 1991
skos:prefLabel
  • [61469] 카자흐스탄 정세, 1991
skos:altLabel
  • 카자흐스탄 정세, 1991
  • 카자흐스탄정세,1991
mofadocu:index_Num
  • 33778
mofadocu:startYear
mofadocu:endYear
mofadocu:relatedDept
mofadocu:classfication
  • 772
mofadocu:relatedCountry
mofadocu:inLol
  • 2021-0151
mofadocu:inFile
  • 13
mofadocu:inFrame
  • 0001-0028
mofadocu:openYear
  • 2022
bibo:abstract
  • 1991년 중 카자흐스탄의 주요 정세 동향임.
    
    1. 리콴유 싱가포르 선임장관, 카자흐스탄 방문(1991.9.18.~25.)
     • 나자르바예프 카자흐스탄 대통령과 회담(9.19.) 시 언급내용
      - 리콴유 선임장관: 소련 각 공화국은 경제개혁 정책 추진과정의 혼란을 최소화하기 위해 모스크바와의 관계를 계속 유지하는 것이 최선의 방책이라고 언급
      - 나자르바예프 대통령: 11.25.부터 싱가포르 방문 예정이며, 리콴유 장관을 경제전문가위원회 고문으로 초청하겠다고 언급
    
    2. 나자르바예프 대통령 당선
     • 카자흐스탄 선거관리위원회는 1991.12.2. 나자르바예프가 98.76% 득표로 대통령에 당선되었다고 발표
    
    3. 국명 변경(1991.12.10.)
     • 카자흐스탄공화국 국명을 Soviet Socilalist Republic of Kazakhstan에서 Republic of Kazakhstan으로 변경
    
    4. 독립선언
     • 카자흐스탄공화국 최고회의는 1991.2.16. 회의를 개최하고 독립을 선언함.
    
    5. 외교관계 수립 문제(12.18., 주소련대사관 보고) 
     • 카자흐스탄 외무장관 법률고문은 카자흐스탄・한국 간의 외교관계 수립 및 대사관 설치를 희망하고, 동 대사관은 모스크바 주재 대사가 겸임하고 대리대사가 상주하는 형식으로 운영 가능하다고 언급
    
    6. 한・카자흐스탄 교육협력
     • 나자르바예프 대통령은 김윤환 민자당 사무총장 앞 서한(1991.12.1.자)을 통해, 카자흐스탄 국민이 한국에서 교육받게 된 것에 사의 표명
mofadocu:relatedCity
mofa:relatedPerson
mofa:relatedOrg
mofadocu:relatedArea
foaf:isPrimaryTopicOf
mofa:yearOfData
  • "1991"^^xsd:integer

본 페이지는 온톨로지 데이터를 Linked Data로 발행한 것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