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60575] 경제적, 사회적 및 문화적(A규약) 권리위원회, 1991 ( http://opendata.mofa.go.kr/mofadocu/resource/Document/60575 ) at Linked Data

Property Value
rdf:type
rdfs:label
  • 경제적, 사회적 및 문화적(A규약) 권리위원회, 1991
skos:prefLabel
  • [60575] 경제적, 사회적 및 문화적(A규약) 권리위원회, 1991
skos:altLabel
  • 경제적, 사회적 및 문화적(A규약) 권리위원회, 1991
  • 경제적,사회적및문화적(a규약)권리위원회,1991
mofadocu:index_Num
  • 32865
mofadocu:startYear
mofadocu:endYear
mofadocu:relatedDept
mofadocu:classfication
  • 734.24
mofadocu:relatedCountry
mofadocu:inLol
  • 2021-0086
mofadocu:inFile
  • 17
mofadocu:inFrame
  • 0001-0073
mofadocu:openYear
  • 2022
bibo:abstract
  • 1. 각국의 인권규약(A규약) 보고서 현황(1991.11.26., 주제네바대표부)
     • 인권사무국이 작성한 경제적, 사회적, 문화적 권리에 관한 국제규약의 국별 보고서 제출 및 심의 현황 관련 문건을 송부
    
    2. 북한의 인권규약 보고서 제출 및 심의
     • 경제적, 사회적, 문화적 권리에 관한 규약(A규약)
      - 발효일자: 1981.12.14.
      - 최초 보고서 제출 및 심의: 제1부 84년 제출, 87년 심의, 제2부 86년 제출, 87년 심의, 제3부 88년 제출, 91년 심의
      - 제2차 보고서 제출: 제출시한이 1983.9.1.까지인 2차 보고서 제1부를 아직 제출하지 않고 있음.
     • A규약 최초 보고서 제3부 심의내용(1991.11.27.~29.)
      - 보고서 내용: 해방직후부터 교육・과학・기술・문화예술 창달노력 주장. 교육 관련 김일성의 ‘사회주의 교육 테제’에 따른 무상・의무교육・직장교육・학교선택의 자유 등을 기술, 과학・기술연구・문화예술 활동 관련 당과 정부의 역할, 저작권・과학기술연구・창조활동 자유보장을 기술
      - 위원 질문 내용: 북한의 단일 교육체제 및 유일 주체사상의 영향 하에서 학교 선택・교육 선택의 자유가 보장될 수 있는지 여부. 또한 유일사상 하에서 연구 및 문화예술 활동이 보장될 수 있는지, 특히 창작 및 출판검열위원회에 의한 활동자유 침해 위험성이 집중 제기됨. 보고서가 법률적, 이론적 측면만 부각되고 현실적 상황에 관한 구체적 진술이 결여됨.
     • 시민적, 정치적 권리에 관한 국제규약(B규약)
      - 발효일자: 1981.12.14.
      - 최초 보고서 제출 및 심의: 1983.10.23., 1984.4.2. 제출, 1984.4월 심의
      - 제2차 보고서 제출: 1987.12.13.까지 제출 시한이나 미제출
mofa:relatedPerson
mofa:relatedOrg
mofadocu:relatedArea
foaf:isPrimaryTopicOf
mofa:yearOfData
  • "1991"^^xsd:integer

본 페이지는 온톨로지 데이터를 Linked Data로 발행한 것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