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60244] 핵관련 수출 통제, 1990-91 ( http://opendata.mofa.go.kr/mofadocu/resource/Document/60244 ) at Linked Data

Property Value
rdf:type
rdfs:label
  • 핵관련 수출 통제, 1990-91
skos:prefLabel
  • [60244] 핵관련 수출 통제, 1990-91
skos:altLabel
  • 핵관련 수출 통제, 1990-91
  • 핵관련수출통제,1990-91
mofadocu:index_Num
  • 32517
mofadocu:startYear
mofadocu:endYear
mofadocu:relatedDept
mofadocu:classfication
  • 729.73
mofadocu:relatedCountry
mofadocu:inLol
  • 2021-0060
mofadocu:inFile
  • 11
mofadocu:inFrame
  • 0001-0262
mofadocu:openYear
  • 2022
bibo:abstract
  • 1990~91년 중 핵 관련 수출통제에 관한 내용임. 
    
    1. 한・미국 핵 관련 이중용도 품목 수출통제 회의(1991.2.7., 서울)
     • 참석자
      - 한국 측: 외무부 통상1과장, 상공부・과기처・국방부 등 관계부처 과장급 
      - 미국 측: 국무부 핵수출 통제과장(단장), 군비통제군축처, 동력부 등 관계관 6인 
     • 배경 
      - COCOM(대공산권수출통제위원회) 회원국은 소련 및 동구권의 개혁을 배경으로 전략물자 수출통제 완화 방안 논의 중 
      - 미국은 COCOM 통제에서 해제되는 이중용도 품목(일반전략물자) 중 핵 개발에 사용될 수 있는 품목에 대해 별도의 수출통제제도를 마련할 목적으로 관련 국가의 입장을 타진 중 
     • 협의 요지 
      - 한국 측: 1975년 NPT(핵확산금지조약) 가입 이래 핵확산 방지를 위한 한국 정부 노력 설명 
      - 미국 측: 핵확산 방지를 위한 한국 측의 협조적 자세를 평가하는 한편, 한국이 핵물질 수출통제를 위해 Zangger 위원회(핵수출국 회의) 가입을 신중히 고려해 줄 것을 요청
     
    2. 핵공급국 회의(1991.3.5.~7., 네덜란드 헤이그)
     • 참가국: 1978년 채택된 Nuclear Supplier Guideline 참여 26개국
     • 회의 목적: 핵확산 방지 강화방안 검토 
     • 토의 내용
      - 핵확산 방지 실천 의지 및 IAEA(국제원자력기구) 세이프가드의 중요성 재확인 
      - 모든 핵공급국들의 핵비확산을 위한 상호협력 책임 강조 및 상업적 경쟁 배제 필요성 환기
      - 핵공급 규제 강화방안의 계속적인 협의 및 협의 정례화 필요성 합의 
      - 한국의 NSG(핵공급국그룹) 가입 문제 신중 검토 요청 
    
    3. Zangger 위원회 가입 검토 
     • 미국, 호주 등은 한국이 핵물질, 관련 장비 및 기술을 타국에 공급할 수 있는 능력을 보유하고 있다고 평가하고, 1974.8월 설립된 Zangger 위원회 가입 문제 검토 요청
     • 외무부는 1991.12월 동 문제와 관련 관계부처와 협의를 계속하고 있으나, 사안의 성격상 전문적・기술적인 심층 검토가 필요하고 부처 간 이견으로 입장 미확정 상황임을 주미국, 주호주대사에게 통보
mofa:relatedOrg
mofadocu:relatedArea
foaf:isPrimaryTopicOf
mofa:yearOfData
  • "1990"^^xsd:integer

본 페이지는 온톨로지 데이터를 Linked Data로 발행한 것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