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60164] 제6회 세계청소년축구선수권대회 남북한 단일팀 참가, 1991 ( http://opendata.mofa.go.kr/mofadocu/resource/Document/60164 ) at Linked Data

Property Value
rdf:type
rdfs:label
  • 제6회 세계청소년축구선수권대회 남북한 단일팀 참가, 1991
skos:prefLabel
  • [60164] 제6회 세계청소년축구선수권대회 남북한 단일팀 참가, 1991
skos:altLabel
  • 제6회 세계청소년축구선수권대회 남북한 단일팀 참가, 1991
  • 제6회세계청소년축구선수권대회남북한단일팀참가,1991
mofadocu:index_Num
  • 32422
mofadocu:startYear
mofadocu:endYear
mofadocu:relatedDept
mofadocu:classfication
  • 726.43
mofadocu:inLol
  • 2021-0054
mofadocu:inFile
  • 1
mofadocu:inFrame
  • 0001-0264
mofadocu:openYear
  • 2022
bibo:abstract
  • 1991년 중 제6회 세계청소년축구선수권대회 남북한 단일팀 참가 관련 내용임.
    
    1. 단일팀 구성 경위
     • 1990.9월 북경아시안게임 참석 계기 남북 통일축구대회 개최 및 남북체육회담 재개
     • 1991.1.15. 제2차 회담에서 2개 국제대회 남북단일팀 구성 및 참가 원칙 합의
     • 1991.2.12. 제4차 회담에서 2개 국제대회 단일팀 구성 관련 6개 합의서 서명
     • 이후 개최된 실무회의에서 2개 국제대회 단일팀 참가 관련 세부사항 합의
    
    2. 주요 합의내용
     • 2개 국제대회 공통사항
      - 선수단 호칭: 한글 ‘코리아’, 영어 ‘KOREA’
      - 선수단 단기: 흰색바탕에 하늘색 한반도 지도
      - 선수단 단가: 1920년도 아리랑
     • 제6회 세계청소년 축구선수권대회
      - 평가전: 서울 및 평양에서 남북 각기 9명씩으로 구성된 2개의 혼성팀 간 실시
      - 선수 선발: 남북 각기 9명씩 1991.5.18.까지 선발 완료
      - 강화훈련: 평양, 서울, 프랑스 툴롱 전지훈련, 포르투갈 현지 적응훈련
      - 선수단 구성: 총 62명(남북 각기 31명), 단장(남측), 감독(북측)
      - 결・해단식: 결단식은 남북왕래 강화훈련 종료 직후 서울, 해단식은 선수단 귀국 후 평양에서 각각 실시
    
    3. 전망
     • 금번 단일팀 구성을 계기로 체육 분야에서는 남북간 대화와 접촉이 비교적 활발할 것으로 전망
    
    4. 주요 현안
     • 남북공동응원 대책
     • 현지 지원대책반 구성 문제
mofadocu:relatedCity
foaf:isPrimaryTopicOf
mofa:yearOfData
  • "1991"^^xsd:integer

본 페이지는 온톨로지 데이터를 Linked Data로 발행한 것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