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60123] 북한.남미 관계, 1991 ( http://opendata.mofa.go.kr/mofadocu/resource/Document/60123 ) at Linked Data

Property Value
rdf:type
rdfs:label
  • 북한.남미 관계, 1991
skos:prefLabel
  • [60123] 북한.남미 관계, 1991
skos:altLabel
  • 북한.남미 관계, 1991
  • 북한.남미관계,1991
mofadocu:index_Num
  • 32360
mofadocu:startYear
mofadocu:endYear
mofadocu:relatedDept
mofadocu:classfication
  • 725.1
mofadocu:relatedCountry
mofadocu:inLol
  • 2021-0049
mofadocu:inFile
  • 23
mofadocu:inFrame
  • 0001-0099
mofadocu:openYear
  • 2022
bibo:abstract
  • 1991년 중 북한과 남미지역 국가 간의 주요 관계 동향임.
    
    1. 볼리비아
     • Conzalo Valda 볼리비아 상원의장을 단장으로 하는 의원단이 IPU(국제의원연맹) 평양 총회 참석차 1991.5월초 평양 방문 예정임. 
     
    2. 브라질
     • Rezek 브라질 외무장관은 1991.11.21. 주브라질대사 면담 시 대북한 수교를 결정하게 되면 한국 정부에 사전 통고함은 물론 사전에 협의한다는 기존 입장에는 변함이 없다고 언급함.
    
    3. 아르헨티나
     • 김경호 주페루 북한대사는 1991.10.2. Figuerero 아르헨티나 외무부 아주국장을 면담하고 김영남 북한 외교부장의 Di Tella 외교장관에 대한 친서를 전달함.
      - 1977년 북한 대사관 요원 무단 철수 시 대사관 건물을 방화한 데 대한 보상 및 북한의 아르헨티나 곡물 수입대금 미 결제분 변상 문제 협의
     
    4. 우루과이
     • 9.9절 행사에 북한을 방문하는 우루과이 인사는 없으며, 1991.8.29. Oscar Gabrera 우루과이・북한 친선협의회 사무총장 명의의 김일성 앞 축전을 발송함. 
    
    5. 파라과이
     • 주파라과이대사는 1991.1.24. Euclides Acevdo 파라과이 2월 혁명당 총재를 면담하고 한반도 상황, 한국의 대북한 정책 및 북한 실정에 대해 설명함.
mofadocu:relatedCity
mofa:relatedPerson
mofadocu:relatedArea
mofa:yearOfData
  • "1991"^^xsd:integer

본 페이지는 온톨로지 데이터를 Linked Data로 발행한 것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