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59633] 주라이베리아대사관 직원 및 동포 철수, 1990-91. 전3권 1990.1-8월 ( http://opendata.mofa.go.kr/mofadocu/resource/Document/59633 ) at Linked Data

Property Value
rdf:type
rdfs:label
  • 주라이베리아대사관 직원 및 동포 철수, 1990-91. 전3권
skos:prefLabel
  • [59633] 주라이베리아대사관 직원 및 동포 철수, 1990-91. 전3권 1990.1-8월
skos:altLabel
  • 주라이베리아대사관 직원 및 동포 철수, 1990-91. 전3권
  • 주라이베리아대사관직원및동포철수,1990-91.전3권
mofadocu:index_Num
  • 31832
mofadocu:volumeNum
  • V.1
mofadocu:volumeName
  • 1990.1-8월
mofadocu:startYear
mofadocu:endYear
mofadocu:relatedDept
mofadocu:classfication
  • 722.31
mofadocu:relatedCountry
mofadocu:inLol
  • 2021-0016
mofadocu:inFile
  • 4
mofadocu:inFrame
  • 0001-0255
mofadocu:openYear
  • 2022
bibo:abstract
  • 1. 라이베리아 내전 발생 및 사태 진전 상황
     • 1989.12.24. 라이베리아 반군에 의한 정부 전복 기도 사건 발생
      - Doe 라이베리아 대통령에 대한 국민의 신뢰도 저하(9건의 쿠데타 기도)
      - 경제정책 실패 및 종족분쟁 악화
      - Doe 정권 붕괴 가능성, 서방 측 무기지원 거절
     • 무장반군 NPFL(라이베리아애국전선, 반군세력)이 중동부지역 대부분 장악
      - 반군 내 2개 세력 몬로비아 시내 대부분 장악
     • 주요 서방국은 반군의 수도 함락에 대비 자국민 철수
      - 미국은 헬기편으로 외국인 및 외국 공관직원 철수 지원
     • 1990.8.7. ECOWAS(서부아프리카 경제공동체)의 다국적 감시군 파견 결정
      - 약 3천 명 파견, 반군세력과 협상 개최
    
    2. 공관원 및 교민 철수
     • 1990.4.20.~6.4. 공관원 일부, 가족 및 교민 철수(교민 140명 중 100여 명)
     • 4.28., 5.31., 8.7. 외무부, 공관원 및 교민 철수 지시
      - 미국 측과 협의하여 미국 함정 편 비상철수 방안 마련
     • 8.8. 한국인 1명 반군에 인질로 억류(석방)
     • 8.14.~30. 교민 8명 미군헬기 및 육로로 철수
mofa:relatedPerson
mofa:relatedOrg
mofadocu:relatedArea
foaf:isPrimaryTopicOf
mofa:yearOfData
  • "1990"^^xsd:integer

본 페이지는 온톨로지 데이터를 Linked Data로 발행한 것입니다.